지난달 22일 기준 쌀(10kg)과 사과 10개의 가격 변동이 확인됐다. 쌀 가격은 전날 대비 소폭 상승했고, 사과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쌀(10kg)의 2월 22일 가격은 2만8918원으로, 전날(2만8916원) 대비 2원 상승했다. 변동 폭은 크지 않지만, 최근 한 달 동안 등락을 반복하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전월(2만9291원)과 비교하면 하락세를 보이지만, 전년 동기(2만7772원) 대비로는 4.1% 상승했다. 사과 10개의 2월 22일 가격은 2만7602원으로, 전날(2만7370원) 대비 232원 상승했지만, 전월(2만9215원)과 비교하면 5.5% 하락한 상태다. 전년 동기(3만2원) 대비로는 약 8% 하락해 전반적인 가격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쌀 가격 상승은 재배면적 축소와 공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쌀 재배면적을 8만 헥타르 감축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쌀값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2030년에는 80kg 기준 17만2709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사과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2030년까지 사과 재배 면적이 2천㏊로 확대될 예정이며, 스마트 과수원 도입과 재배 방식 개선이 생산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보다 노동력이 줄어들고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생산량 증가가 기대된다. 정부는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긴급 가격안정자금 투입과 품목별 기준가격 조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기후 및 유통 상황에 따른 추가 변동 가능성이 주목된다. /윤소리 기자 관련기사 [오늘의 물가] 배추·양배추 하락, 수박 상승 [오늘의 물가] 돼지고기·파프리카 하락·대부분 보합세 [오늘의 물가] 배추·쌀 가격 상승세 지속…정부 대응은? [오늘의 물가] 샤인머스캣·청양고추 구매, 보관, 활용법은? [오늘의 물가] 도드람·농협 '맞춤형 유통' 승부수 [오늘의 물가] 딸기 가격 안정화·참다래는 상승세 [오늘의 물가] 대파·굴 가격 변동 지속…수급 향방 주목 [오늘의 물가] 배추 전년 대비 84.66% 상승 [오늘의 물가] 토마토 가격 회복세·당근 장기적 상승 벼는 줄고, 쌀은 남고…고요한 5만 원대 유지 윤소리 기자 s.o.l.ily2504@gmail.com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지난달 22일 기준 쌀(10kg)과 사과 10개의 가격 변동이 확인됐다. 쌀 가격은 전날 대비 소폭 상승했고, 사과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쌀(10kg)의 2월 22일 가격은 2만8918원으로, 전날(2만8916원) 대비 2원 상승했다. 변동 폭은 크지 않지만, 최근 한 달 동안 등락을 반복하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전월(2만9291원)과 비교하면 하락세를 보이지만, 전년 동기(2만7772원) 대비로는 4.1% 상승했다. 사과 10개의 2월 22일 가격은 2만7602원으로, 전날(2만7370원) 대비 232원 상승했지만, 전월(2만9215원)과 비교하면 5.5% 하락한 상태다. 전년 동기(3만2원) 대비로는 약 8% 하락해 전반적인 가격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쌀 가격 상승은 재배면적 축소와 공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쌀 재배면적을 8만 헥타르 감축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쌀값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2030년에는 80kg 기준 17만2709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사과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2030년까지 사과 재배 면적이 2천㏊로 확대될 예정이며, 스마트 과수원 도입과 재배 방식 개선이 생산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보다 노동력이 줄어들고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생산량 증가가 기대된다. 정부는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긴급 가격안정자금 투입과 품목별 기준가격 조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기후 및 유통 상황에 따른 추가 변동 가능성이 주목된다. /윤소리 기자
관련기사 [오늘의 물가] 배추·양배추 하락, 수박 상승 [오늘의 물가] 돼지고기·파프리카 하락·대부분 보합세 [오늘의 물가] 배추·쌀 가격 상승세 지속…정부 대응은? [오늘의 물가] 샤인머스캣·청양고추 구매, 보관, 활용법은? [오늘의 물가] 도드람·농협 '맞춤형 유통' 승부수 [오늘의 물가] 딸기 가격 안정화·참다래는 상승세 [오늘의 물가] 대파·굴 가격 변동 지속…수급 향방 주목 [오늘의 물가] 배추 전년 대비 84.66% 상승 [오늘의 물가] 토마토 가격 회복세·당근 장기적 상승 벼는 줄고, 쌀은 남고…고요한 5만 원대 유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