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2025년 1월 25일부터 2월 4일까지 배추와 시금치의 중도매인 판매가격 동향이 분석되었다. 배추는 평균 1만5903원에서 출발해 최고 1만5960원까지 상승했으며, 시금치는 전월 대비 상승세를 보이며 1만7920원을 기록했다. 배추(10kg 그물망 3포기 기준)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2월 4일 기준 1만5960원으로, 전월 대비 1.92% 상승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4.66% 높은 수준이며, 평년 대비로는 95.42% 상승한 수치다. 특히 1월 31일부터 2월 3일 사이에는 1만4980원에서 1만5660원으로 4.54%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월 평균 가격은 1만5903원을 기록해 평년 가격인 8167원을 크게 웃돌았다. 시금치(상품, 4kg 기준)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2월 4일 1만7920원을 기록했다. 전일 대비 4.07% 상승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9.62% 하락한 수준이다. 다만 평년 대비로는 여전히 13.88%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1월 24일부터 2월 4일까지는 1만7220원에서 1만7920원 사이에서 움직이며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보였다. 1월 31일까지 1만7660원선에서 안정세를 보이다가, 2월 3일 소폭 하락 후 2월 4일 다시 반등했다. 소매시장에서도 가격 변동이 감지됐다. 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격은 2월 4일 기준 4973원으로, 전일 대비 0.48% 하락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2.59% 낮은 수준이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64.83% 높은 가격을 형성했다. 평년 가격(3501원)과 비교하면 42.05% 높은 수준이다. 1월 24일부터 2월 4일까지는 4835원에서 4997원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1월 31일 소폭(-0.08%) 하락했다가 2월 3일 3.35% 반등한 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시금치(상품, 100g 기준) 소매가격은 2월 4일 기준 1249원으로, 전일 대비 0.79% 하락했다. 전월 대비 27.06%, 전년 대비 13.96%, 평년 대비 52.88% 상승하며 전반적인 강세를 이어갔다. 1월 24일부터 2월 4일까지는 1054원에서 1259원 사이에서 변동했으며, 1월 31일에는 11.95%의 급격한 상승을 기록했다. 최근 3일간은 1180원에서 1259원까지 상승했다가 1249원으로 소폭 조정받는 모습을 보였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배추 가격은 2021년 3000원에서 2022년 4000원으로 33.3% 상승했으며, 2023년에는 5000원까지 올라 전년 대비 25%, 2021년 대비 66.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금치는 2021년 2500원에서 2022년 3000원으로 20% 상승했고, 2023년에는 3500원으로 16.7% 추가 상승했다. 두 품목 모두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배추의 상승 폭이 더욱 두드러졌다. /윤소리 기자 관련기사 [오늘의 물가] 대파·굴 가격 변동 지속…수급 향방 주목 [오늘의 물가] 딸기 가격 안정화·참다래는 상승세 [오늘의 물가] 도드람·농협 '맞춤형 유통' 승부수 [오늘의 물가] 샤인머스캣·청양고추 구매, 보관, 활용법은? [오늘의 물가] 배추·쌀 가격 상승세 지속…정부 대응은? [오늘의 물가] 배추·양배추 하락, 수박 상승 [오늘의 물가] 쌀 상승·사과 하락…시장 변동 지속 [오늘의 물가] 토마토 가격 회복세·당근 장기적 상승 [오늘의 물가] 배추·무 가격 상승세 지속 윤소리 기자 s.o.l.ily2504@gmail.com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2025년 1월 25일부터 2월 4일까지 배추와 시금치의 중도매인 판매가격 동향이 분석되었다. 배추는 평균 1만5903원에서 출발해 최고 1만5960원까지 상승했으며, 시금치는 전월 대비 상승세를 보이며 1만7920원을 기록했다. 배추(10kg 그물망 3포기 기준)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2월 4일 기준 1만5960원으로, 전월 대비 1.92% 상승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4.66% 높은 수준이며, 평년 대비로는 95.42% 상승한 수치다. 특히 1월 31일부터 2월 3일 사이에는 1만4980원에서 1만5660원으로 4.54%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월 평균 가격은 1만5903원을 기록해 평년 가격인 8167원을 크게 웃돌았다. 시금치(상품, 4kg 기준)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2월 4일 1만7920원을 기록했다. 전일 대비 4.07% 상승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9.62% 하락한 수준이다. 다만 평년 대비로는 여전히 13.88%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1월 24일부터 2월 4일까지는 1만7220원에서 1만7920원 사이에서 움직이며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보였다. 1월 31일까지 1만7660원선에서 안정세를 보이다가, 2월 3일 소폭 하락 후 2월 4일 다시 반등했다. 소매시장에서도 가격 변동이 감지됐다. 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격은 2월 4일 기준 4973원으로, 전일 대비 0.48% 하락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2.59% 낮은 수준이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64.83% 높은 가격을 형성했다. 평년 가격(3501원)과 비교하면 42.05% 높은 수준이다. 1월 24일부터 2월 4일까지는 4835원에서 4997원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1월 31일 소폭(-0.08%) 하락했다가 2월 3일 3.35% 반등한 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시금치(상품, 100g 기준) 소매가격은 2월 4일 기준 1249원으로, 전일 대비 0.79% 하락했다. 전월 대비 27.06%, 전년 대비 13.96%, 평년 대비 52.88% 상승하며 전반적인 강세를 이어갔다. 1월 24일부터 2월 4일까지는 1054원에서 1259원 사이에서 변동했으며, 1월 31일에는 11.95%의 급격한 상승을 기록했다. 최근 3일간은 1180원에서 1259원까지 상승했다가 1249원으로 소폭 조정받는 모습을 보였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배추 가격은 2021년 3000원에서 2022년 4000원으로 33.3% 상승했으며, 2023년에는 5000원까지 올라 전년 대비 25%, 2021년 대비 66.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금치는 2021년 2500원에서 2022년 3000원으로 20% 상승했고, 2023년에는 3500원으로 16.7% 추가 상승했다. 두 품목 모두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배추의 상승 폭이 더욱 두드러졌다. /윤소리 기자
관련기사 [오늘의 물가] 대파·굴 가격 변동 지속…수급 향방 주목 [오늘의 물가] 딸기 가격 안정화·참다래는 상승세 [오늘의 물가] 도드람·농협 '맞춤형 유통' 승부수 [오늘의 물가] 샤인머스캣·청양고추 구매, 보관, 활용법은? [오늘의 물가] 배추·쌀 가격 상승세 지속…정부 대응은? [오늘의 물가] 배추·양배추 하락, 수박 상승 [오늘의 물가] 쌀 상승·사과 하락…시장 변동 지속 [오늘의 물가] 토마토 가격 회복세·당근 장기적 상승 [오늘의 물가] 배추·무 가격 상승세 지속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