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 전역에서 남성 인구의 감소가 뚜렷하다. 2024년 7월부터 2025년 10월까지 전국 인구는 12만 명 줄었고, 이 가운데 남성이 6만7천 명으로 여성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충청권 역시 세종만 증가세를 보였을 뿐 충남과 충북은 정체 상태에 머물렀다. 세종이 행정수도로서 젊은층과 가구 단위 유입을 이어가는 동안, 주변 지역은 일할 세대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남성 인구의 감소는 단순한 인구 통계의 변화가 아니다. 산업과 노동시장의 기반이 약해지고 있다는 경고다. 제조업과 건설업 중심으로 유지돼온 지방의 산업 구조는 이미 일자리의 질적 쇠퇴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의 청년 남성은 더 나은 일자리와 주거 환경을 찾아 수도권과 세종으로 이동하고, 그 빈자리는 고령층과 여성 중심의 비활동 인구로 채워지고 있다. 이는 지방의 경제 활력뿐 아니라 세수, 소비, 출산 등 모든 구조에 연쇄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세종의 성장은 충청권 전체를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행정수도의 확대가 주변 지역의 흡입력을 강화하기보다, 인구와 자원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남성 인구의 이탈은 곧 생산 인력의 유출이며, 이는 지방산업의 생태계 자체를 약화시키는 문제다. 인구정책을 출산이나 정주 인센티브 중심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산업·교육·생활 기반의 질을 높여 사람이 머물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는 지역의 고용 구조를 다시 짜야 한다. 수도권과 세종으로의 집중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은 지방의 소멸을 앞당길 뿐이다. 일할 세대가 떠난 지방은 산업이 멈추고, 산업이 멈춘 지방은 결국 공동체 자체를 유지하기 어렵다. 인구 감소의 중심에 있는 남성의 이탈은 지방이 여전히 ‘살 만한 곳’이 되지 못했다는 증거다. 관련기사 충청권 인구 감소... 세종만 소폭 늘어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 전역에서 남성 인구의 감소가 뚜렷하다. 2024년 7월부터 2025년 10월까지 전국 인구는 12만 명 줄었고, 이 가운데 남성이 6만7천 명으로 여성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충청권 역시 세종만 증가세를 보였을 뿐 충남과 충북은 정체 상태에 머물렀다. 세종이 행정수도로서 젊은층과 가구 단위 유입을 이어가는 동안, 주변 지역은 일할 세대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남성 인구의 감소는 단순한 인구 통계의 변화가 아니다. 산업과 노동시장의 기반이 약해지고 있다는 경고다. 제조업과 건설업 중심으로 유지돼온 지방의 산업 구조는 이미 일자리의 질적 쇠퇴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의 청년 남성은 더 나은 일자리와 주거 환경을 찾아 수도권과 세종으로 이동하고, 그 빈자리는 고령층과 여성 중심의 비활동 인구로 채워지고 있다. 이는 지방의 경제 활력뿐 아니라 세수, 소비, 출산 등 모든 구조에 연쇄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세종의 성장은 충청권 전체를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행정수도의 확대가 주변 지역의 흡입력을 강화하기보다, 인구와 자원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남성 인구의 이탈은 곧 생산 인력의 유출이며, 이는 지방산업의 생태계 자체를 약화시키는 문제다. 인구정책을 출산이나 정주 인센티브 중심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산업·교육·생활 기반의 질을 높여 사람이 머물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는 지역의 고용 구조를 다시 짜야 한다. 수도권과 세종으로의 집중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은 지방의 소멸을 앞당길 뿐이다. 일할 세대가 떠난 지방은 산업이 멈추고, 산업이 멈춘 지방은 결국 공동체 자체를 유지하기 어렵다. 인구 감소의 중심에 있는 남성의 이탈은 지방이 여전히 ‘살 만한 곳’이 되지 못했다는 증거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