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정감사에서는 해양경찰 현장 대응 부실, AI 교과서 논란, 캄보디아 한국인 피해 사건 대응 등이 집중 조명됐다.

인천 해양경찰청에서 열린 농해수위 국감에서는 9월 11일 발생한 고 이재석 경사 순직 사건이 핵심 쟁점이 됐다. 의원들은 교신 두절 후 78분 만에 본청 보고가 이뤄진 점, 야간 근무 인력 2명, 구명조끼와 위치표시 장비 미비 등을 지적했다. 서삼석 민주당 의원은 "조금만 주의했어도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고 했고, 김용진 해경청장은 "선조치 후보고 원칙을 재정비하고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교육청 교육위 국감에서는 AI 교과서 강요 논란이 불거졌다. 백승아 민주당 의원은 "대구의 1학기 AI 교과서 채택률은 98.9%지만 실제 사용률은 10%대"라며 강요 의혹을 제기했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은 "AI 교과서 예산 141억 원에 비해 기초학력·생활지도 예산이 각각 47%, 31% 줄었다"고 비판했다.

전북대 교육위 국감에서는 제주 4·3 사건을 왜곡한 '섬의 반란' 등 극우 서적의 학교 도서관 비치가 문제됐다. 박성준 민주당 의원은 전수조사와 폐기를 촉구했다. 전남교육청의 ADHD 학생 처방약 무상지원 사업도 약물 오남용 우려로 비판받았다.

외통위 아주반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국인 대학생 사망 사건 이후 두 달 넘게 시신 송환이 지연된 점과 대사 공석 장기화를 문제 삼았다.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은 "정부 고위직의 직접 협조 요청이 없었다"며 외교 채널 부재를 지적했다.

강원교육청 국감에서는 학교법인 강원학원의 갑질·비리 의혹이 집중 질타를 받았고, 백승아 의원은 관선이사 파견과 특별감사를 요구했다.

한편 전날 해킹 사고로 질타받은 통신 3사 대표들은 22일 잇따라 사과했다. KT는 이용자에게 해킹 사실을 알렸고, LG유플러스는 침해 사실을 신고하겠다고 했으며, SK텔레콤은 위약금 발언 혼선에 대해 사과했다. /이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