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부동산 시장의 이원화가 충청권 청년층을 더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전국 주택 소유율이 2024년 56.9%까지 상승했지만 청년층만은 소유 경로에서 멀어지고 있다. 국가데이터처 통계에서도 전국 30대 소유율은 2020년 17.65%에서 2024년 16.15%로 하락했고 충청권 역시 대전 16.11%, 충북 19.10%, 충남 17.83% 등 정체가 이어졌다. 청년층의 주거 기반은 지역에서도 회복 조짐이 없다.

1인 가구 급증과 낮은 자가 비율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제약한다. 청년 1인 가구의 자가 비율은 30.6%, 보증금 있는 월세 비중은 38.0%로 가장 높아 소유 전환 단계로의 이동이 막혀 있다. 혼인 감소와 맞벌이 축소로 전통적 정착 경로도 약해졌지만 지역 정책은 변화한 세대 구조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충청권 월세 시장의 급등은 취약성을 더 키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월세 계약은 10만5856건으로 전년보다 28.7% 증가했다. 대전 21%, 세종 27.7%, 충북 48.1%, 충남 19.9% 모두 큰 폭의 증가다. 전세사기 여파와 보증 기준 강화는 월세 의존을 심화시키며 충청권을 단기간에 월세 중심 시장으로 전환시켰다.

주택금융통계시스템의 PIR을 보면 서울 8.0배, 대전 7.9배, 세종 7.0배, 충남 6.2배, 충북 5.5배로 충청권도 부담이 낮은 지역이라고 보기 어렵다. 월세 팽창과 PIR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이중 구조는 청년층의 소유 기반을 더욱 약하게 만든다.

여기에 산업단지 중심 고용 구조가 정착을 지연시키고 있다. 천안·아산·오송·청주의 산업단지는 고용 흡수력이 크지만 근로자들은 통근·기숙사·단기 월세에 머물며 소유 전환이 더디다. 월세 수요 증가는 주변 지역의 정착 비용을 높여 청년 무주택 가구 증가로 이어진다.

결국 충청권은 인구와 산업은 늘지만 청년층은 정착하지 못하는 모순을 안고 있다. 지역이 선택한 성장 방식이 청년층에게는 불안정한 거주 환경으로 전가되는 문제를 더 이상 넘길 수 없다. 산업 확장보다 정착 기반 구축이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한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