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 기준 전국 공사완료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248호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777호, 충청권은 약 3700호, 영남권은 9900호 수준이었다. 전체 미분양의 36%가 영남권에 집중된 가운데,수도권이 거래 회복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충청권은 실수요 부진과 완공 물량 부담이 겹쳤다.

규모별로 보면 공사완료 후 미분양 주택 2만7248호 중 60~85㎡ 규모가 1만7884호(65.6%)로 가장 많았다. 40~60㎡ 규모는 4042호(14.8%), 85㎡ 초과 규모는 3641호(13.4%), 40㎡ 이하 규모는 1681호(6.1%)였다. 전체의 3/4 이상이 중대형 평형으로, 지역 경기 둔화와 금리 부담이 맞물린 결과다. 

비수도권의 매매거래량은 8월 2만4579건으로 전월 대비 16.8%, 전년 동월 대비 11.8% 감소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실거래가격지수 격차는 17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충청권의 거래량 역시 두 자릿수 감소세가 이어졌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오송·청주권 산업단지 수요를 중심으로 미분양을 일정 수준 억제하고 있으며, 충남은 내포·아산권의 단기 반등 이후 보합세를 유지중이다. 세종과 대전은 공공기관 이전 수요로 안정세를 보이지만 거래량이 적어 회복 흐름이 뚜렷하지 않다. 

한편 주택산업연구원이 지난달 발표한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HBSI)는 세종 100.0, 대전 93.3, 충북 90.0, 충남 83.3으로 충청권은 평균 91.7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86.6)보다는 높지만 수도권(95.1)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자금조달지수(86.5)와 자재수급지수(93.4)도 소폭 상승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충청권 부동산 시장 안정은 실수요 회복에 달렸다고 입을 모은다. 대전의 한 부동산 업자는 "지역민이 살고 싶은 집이 시장에 얼마나 늘어나는지가 체감되는 것이 먼저"라며 "청년·신혼부부 주택자금과 같이 수요 기반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