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제작된 이미지 전국 창업기업 수가 3분기 연속 증가했다. 2025년 2분기 기준 28만8147개로 전년보다 늘었고, 법인 창업 비중도 상승했다. 경기 둔화 이후 이어진 감소세가 멈췄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회복의 무게는 수도권에 쏠려 있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 전체 창업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회복세를 이끄는 동안, 비수도권의 상승은 완만하다. 충청권은 대전과 세종이 소폭 늘었지만 충북과 충남은 정체 상태다. 법인 창업 비중도 세종 12.6%, 대전 9.9%에 비해 충북과 충남은 7% 안팎에 머물러 지역 내부 편차가 뚜렷하다. 이 같은 회복의 불균형은 창업 인프라와 투자 네트워크가 수도권에 집중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호남권과 강원권은 여전히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했고, 충청권 역시 전국 평균을 밑돈다. 창업의 양적 회복이 수도권에 머무는 한, 지역 경제의 균형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창업지원정책의 초점을 단순한 수 확대가 아니라 지역 생태계 확장에 맞춰야 한다. 창업이 경기 회복의 신호라면, 그 회복의 범위가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돼야 한다. 창업정책의 성과는 숫자가 아니라 분포로 평가받아야 한다. 관련기사 전국 창업 28만8147개…충청권 완만한 반등 보여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제작된 이미지 전국 창업기업 수가 3분기 연속 증가했다. 2025년 2분기 기준 28만8147개로 전년보다 늘었고, 법인 창업 비중도 상승했다. 경기 둔화 이후 이어진 감소세가 멈췄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회복의 무게는 수도권에 쏠려 있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 전체 창업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회복세를 이끄는 동안, 비수도권의 상승은 완만하다. 충청권은 대전과 세종이 소폭 늘었지만 충북과 충남은 정체 상태다. 법인 창업 비중도 세종 12.6%, 대전 9.9%에 비해 충북과 충남은 7% 안팎에 머물러 지역 내부 편차가 뚜렷하다. 이 같은 회복의 불균형은 창업 인프라와 투자 네트워크가 수도권에 집중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호남권과 강원권은 여전히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했고, 충청권 역시 전국 평균을 밑돈다. 창업의 양적 회복이 수도권에 머무는 한, 지역 경제의 균형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창업지원정책의 초점을 단순한 수 확대가 아니라 지역 생태계 확장에 맞춰야 한다. 창업이 경기 회복의 신호라면, 그 회복의 범위가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돼야 한다. 창업정책의 성과는 숫자가 아니라 분포로 평가받아야 한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