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2024년 사망원인통계는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이 여전히 위기 수준에 있음을 보여준다. 암과 순환기질환 등 주요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는 동안, 고의적 자해 사망자는 월평균 1천 2백 명 수준에서 정체됐다. 의료기술의 발전이 생물학적 사망률을 낮추는 동안, 사회적 요인에 따른 사망은 줄지 않았다는 점에서 구조적 불균형이 드러난다.

보건의료체계가 생명 연장 중심으로 발전한 반면, 정신건강 관리와 사회적 안전망 구축은 여전히 미비하다. 상담과 위기대응 중심의 개별 사업이 반복되고 있지만, 통합적 대응체계는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 성별 격차 또한 고착돼 있다. 남성의 고의적 자해 사망률은 여성의 세 배 수준으로, 경제적 압박과 심리적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회 구조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신건강 정책은 감정적 접근보다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연령·지역·소득별 통계 분석을 통해 위험군을 조기에 탐지하고, 보건·복지·교육·미디어 정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보건복지부와 생명존중희망재단이 마련한 영상콘텐츠 가이드라인 확산 논의는 그 출발점이다. 사회적 사망률을 낮추는 일은 개별 상담이나 캠페인으로 해결될 수 없다. 정부와 사회가 데이터를 근거로 위험 신호를 읽고, 이를 정책으로 전환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만이 지속 가능한 생명존중의 시작이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