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상반기 자살 사망자가 7067명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39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는 참담한 현실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런 비극이 지역별로 판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충청권 4개 시도의 사례가 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대전은 2분기 사망자가 감소했지만 충북은 급증했다. 같은 권역 안에서도 이처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화 수준, 인구 구성, 복지 인프라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 자살예방 정책은 전국을 하나로 보고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왔다. 생명존중 캠페인부터 상담 전화까지 모든 지역에 똑같은 방식으로 접근했다. 하지만 농촌의 고령화 문제와 신도시의 사회적 고립은 근본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다. 천편일률적 접근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이제 발상을 바꿔야 한다. 도시 지역은 직장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에 집중하고, 농촌은 고령자 돌봄과 지역 공동체 복원에 주력해야 한다. 신도시는 사회적 연결망 구축이 우선이다. 중앙정부는 큰 틀을 제시하되, 구체적 실행은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게 설계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지자체도 더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시군구별 세부 분석을 통해 고위험 지역을 파악하고, 민관 협력체계를 지역 실정에 맞게 구축해야 한다. 획일적 매뉴얼이 아니라 현장 중심의 유연한 대응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자살예방에 지역적 불평등이 있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그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은 각 지역의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이어야 한다. 생명 앞에서 필요한 것은 획일성이 아니라 세심함이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