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성희롱 실태조사에서 드러난 수치는 제도적 대응의 허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피해 경험자 중 12.3%가 2차 피해를 겪었고, 절반 이상은 아무런 해소 시도조차 하지 못했다. 악의적 소문, 평판 훼손, 폭언·폭행 등 사건 이후에 발생하는 피해가 상당수 확인됐다. 이는 단순히 가해 행위에 대한 처벌만으로는 직장 내 성희롱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피해 이후의 대응이 제도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피해자의 75.2%가 '참고 넘어갔다'고 답했다. 공식 절차를 밟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그 이유로는 ‘문제를 제기해도 조직이 묵인할 것 같아서’, ‘관계 악화 우려’, ‘불이익 걱정’이 주로 꼽혔다. 고충창구 인지율은 90%가 넘었지만 실제 권유 경험은 8.9%에 그쳤다. 제도가 존재하고 절차가 마련돼 있어도, 이를 사용할 수 없는 분위기와 신뢰 부족이 피해자를 침묵으로 내몬 셈이다. 공식 신고 이후에도 '적절한 조치가 없었다'는 응답이 23%였고, 피해자 보호조치나 행위자 징계가 이뤄졌다는 응답은 각각 10%대에 머물렀다. 사건 처리 과정과 결과에 모두 불만족하는 응답이 30~40%를 차지했다. 이는 제도 운영의 실질적 신뢰를 확보하지 못하면, 피해자는 목소리를 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성희롱 방지체계는 단순히 신고 창구를 마련하거나 규정을 개정하는 것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피해 이후의 심리적·관계적 장벽을 낮추고, 2차 피해를 철저히 차단하며, 사건 처리 전 과정에서 피해자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무엇보다 제도의 존재를 넘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형식적 확장이 아니라, 작동하는 제도를 만들기 위한 재정비다. 관련기사 [성희롱 실태조사] 10명 중 7.5명이 참았다 [성희롱 실태조사] 피해자를 두 번 울리는 직장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성희롱 실태조사에서 드러난 수치는 제도적 대응의 허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피해 경험자 중 12.3%가 2차 피해를 겪었고, 절반 이상은 아무런 해소 시도조차 하지 못했다. 악의적 소문, 평판 훼손, 폭언·폭행 등 사건 이후에 발생하는 피해가 상당수 확인됐다. 이는 단순히 가해 행위에 대한 처벌만으로는 직장 내 성희롱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피해 이후의 대응이 제도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피해자의 75.2%가 '참고 넘어갔다'고 답했다. 공식 절차를 밟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그 이유로는 ‘문제를 제기해도 조직이 묵인할 것 같아서’, ‘관계 악화 우려’, ‘불이익 걱정’이 주로 꼽혔다. 고충창구 인지율은 90%가 넘었지만 실제 권유 경험은 8.9%에 그쳤다. 제도가 존재하고 절차가 마련돼 있어도, 이를 사용할 수 없는 분위기와 신뢰 부족이 피해자를 침묵으로 내몬 셈이다. 공식 신고 이후에도 '적절한 조치가 없었다'는 응답이 23%였고, 피해자 보호조치나 행위자 징계가 이뤄졌다는 응답은 각각 10%대에 머물렀다. 사건 처리 과정과 결과에 모두 불만족하는 응답이 30~40%를 차지했다. 이는 제도 운영의 실질적 신뢰를 확보하지 못하면, 피해자는 목소리를 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성희롱 방지체계는 단순히 신고 창구를 마련하거나 규정을 개정하는 것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피해 이후의 심리적·관계적 장벽을 낮추고, 2차 피해를 철저히 차단하며, 사건 처리 전 과정에서 피해자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무엇보다 제도의 존재를 넘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형식적 확장이 아니라, 작동하는 제도를 만들기 위한 재정비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