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6월 기준 전국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표면적으로는 그렇다. 지역과 세대별로 수치를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회복의 속도와 방향이 크게 엇갈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도권과 지방의 평균 지표 차이는 크지 않지만, 지방 내부의 편차는 심각하다. 대전은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모두 1.0%p 올라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지만 전북은 모두 하락했고 세종과 광주도 사실상 제자리걸음에 머물렀다. 동일한 권역 안에서도 산업 기반과 고용 창출 능력의 차이가 노동시장 회복력을 갈라놓고 있는 것이다.

세대별 흐름은 더 우려스럽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년 사이 17만 명 넘게 줄었다. 경기·서울의 감소폭이 크지만, 대전·충북·전북·세종 등 충청·호남권 주요 지역도 모두 감소했다. 반면 고령층 취업은 대부분 지역에서 늘어났다. 은퇴 이후 재취업이나 단기·저임금 일자리에 의존하는 고령층의 증가는 통계상 고용률 개선에 기여하지만 노동시장 질적 수준을 높이지는 못한다. 청년층은 진입이 늦어지고, 고령층은 불안정 고용이 확산되는 이중 구조가 고착될 경우 생산성과 소비 기반 모두가 약화될 수 있다.

지표가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정책 대응을 미루어서는 안 된다. 청년층의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을 돕는 맞춤형 일자리 정책과 함께, 고령층 고용의 질을 높이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 동시에 지역별 산업 다변화와 고용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방 내부의 격차를 완화해야 한다. 지금의 불균등 회복은 시간이 갈수록 구조적 양극화로 굳어질 가능성이 크다. 안정된 겉모습에 안주하지 말고, 세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포괄적 고용 전략을 서둘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