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6월 기준 전국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각각 64% 안팎과 65% 중반 수준을 기록하며 겉으로는 안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권역별·세대별 흐름을 들여다보면 격차와 불균형이 뚜렷하다.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5.53%로 지난해와 동일했고, 고용률은 0.1%p 오른 63.50%에 그쳤다. 지방은 참가율이 0.23%p, 고용률이 0.28%p 상승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충청·호남권에서 회복 속도 차이가 뚜렷하다. 대전은 참가율과 고용률이 모두 1.0%p 올라 전국에서 가장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고, 충북·충남·전남도 소폭 개선됐다. 반면 전북은 참가율(-0.8%p)과 고용률(-0.6%p) 모두 하락했고, 세종(-0.1%p, -0.6%p)과 광주(0.0%p, -0.3%p)는 사실상 회복이 정체됐다.

세대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 부진이 전반적인 수치 악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전국 청년 취업자는 17만3천 명 감소했으며, 경기(-9만7천 명)와 서울(-2만7천 명)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충청·호남권 역시 대전(-1만5천 명), 충북(-1만6천 명), 전북(-8천 명), 세종(-7천 명) 등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가 이어졌다. 청년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가운데 신규 일자리 진입이 지연되면서, 경기 회복 국면에서도 고용률 반등폭이 제한되는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

반면 고령층(60세 이상) 취업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과 농업 비중이 큰 충북·충남, 서비스업과 공공행정 중심의 세종·대전은 고령층 고용 확대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는 은퇴 이후 재취업이나 생계형 일자리 확대로 인한 결과로,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은 통계상 고용률 개선에 기여하지만 일자리의 질과 안정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크다.

결국 수도권과 지방 간 평균 지표 차이는 크지 않지만, 지방 내부의 회복 속도와 세대별 고용 여건은 상이하게 전개되고 있다. 청년층 감소와 고령층 확대로 대표되는 세대 구조 변화는 지역별 산업 기반 차이와 맞물려 노동시장 불균형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