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후보 정책 격돌… 판세 요동칠까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개혁신당 각 진영의 후보가 확정되면서 본격적인 3강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등 세 후보는 각기 다른 전략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유권자의 선택을 향한 경쟁을 시작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27일 순회경선을 마무리하고 이재명 후보를 최종 대선후보로 확정했다. 이재명 후보는 4차례에 걸친 지역 순회경선에서 합산 89.77%의 압도적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투표 없이 후보로 선출됐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의 대선 경선 사상 최고 득표율로, 당내 입지와 대중적 지지 모두를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국민의힘은 지난 3일 전당대회를 통해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했다. 김 후보는 이날 경선에서 56.53%의 득표율로 당내 경쟁자들을 제치고 국민의힘 후보로 선출됐다. 김 후보는 기자회견에서 ‘국민 통합’과 ‘경제 회복’을 핵심 비전으로 제시하고, 일자리 창출과 중산층 강화, 부정부패 척결, 디지털 전환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특히 이번 경선에서는 여론조사 조작 논란을 방지하기 위한 ‘명태균 방지 조항’이 도입되는 등 공정성 확보에 중점을 둔 절차가 병행됐다.

제3지대에서는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 압박을 거부하며 독자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준석 후보는 관훈클럽 토론회 등에서 ‘묻지마 단일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고, 세대교체·정당개혁·디지털 민주주의 등 기존 진영 구도를 넘는 실용주의 개혁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30 세대와 데이터 기반 정치, 정당 민주화 등의 아젠다를 전면에 내세우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후보 구도가 정립된 가운데 지난 4일은 공직자 사퇴 시한으로 출마를 위한 정치권 인사들의 이동도 있었다. 선거법에 따라 대통령 궐위에 따른 조기 대선에서는 선거일 30일 전까지 공직을 사퇴해야 출마가 가능하다. 과거 2017년 대선 당시 홍준표 전 경남지사는 시한 직전 사퇴하고 출마해 2위에 올랐으며, 남재준 전 국정원장 등도 유사한 경로를 밟았으나 당선에는 실패했다. 이번에도 고위공직자와 정치인들이 대선 출마를 위한 거취 정리를 마친 것으로 관측된다.

5월 초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가 여전히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나, 국민의힘 내 후보 확정 효과와 보수층 결집 가능성으로 김문수 후보의 상승세가 주목된다. 일부 조사에서는 김문수·한덕수 후보 간 보수 단일화 가능성이 거론되며 지지율 흐름에 변동성이 감지되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소수 지지율에 머물고 있으나, 20대~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지지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본격적인 선거 일정은 오는 19일 공식 선거운동 개시와 함께 가시화된다. 18일부터는 지상파 3사가 주관하는 법정 TV토론이 시작되며, 정책공약집 제출과 여론 검증도 이어진다. 특히 5월 하순의 TV토론과 공약 대결은 후보 간 비전 경쟁의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후보 등록과 공직자 사퇴 시한이 지나며 구도가 고착화된 가운데, 각 진영은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확보를 위한 전략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단일화 가능성, 정책 차별성, 세대 지형별 반응 등은 남은 한 달간의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