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 운동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이 운동이 이제는 2030 세대의 참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통일부가 주최하는 '2030 북한인권 활동가 대상 워크숍'(7월 24~25일)이다. 1세대 활동가들의 헌신으로 시작된 북한인권 운동은 이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 가장 주목받는 내용 중 하나는 '뉴미디어 활용 북한인권 홍보 방안'이다. 1세대에게서 바통을 이어받은 2030 젊은 북한인권 운동가들은 미국 의회 청문에 출석해 탈북민들의 상황과 중국 정부의 국제법 위반 행위 등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워크숍의 또 다른 특징은 한일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이다. 25일에는 일본 연구자들도 참여해 양국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한다. 한일 관계 전문가인 박성훈 교수는 "일본은 납치자 문제 등을 통해 북한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양국의 시민사회가 힘을 모으면 국제사회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UN 등 국제기구에서의 공동 대응, 탈북자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이 구체적인 협력 방안으로 제시될 전망이다. 북한인권 NGO의 세대 구성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통일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북한인권 NGO 활동가 중 2030 세대의 비율은 15%에 불과했으나, 2023년에는 40%까지 증가했다. 또한 활동 영역도 다양화되고 있다. 과거 주로 탈북자 지원과 국제 로비에 집중되었던 활동이 이제는 북한 주민 대상 정보 유입, 디지털 아카이빙, 트라우마 치유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인권 운동과도 맥을 같이한다. 여성인권운동의 경우, 2030 세대의 참여로 온라인 캠페인과 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 등 새로운 방식의 활동이 늘어났다. 장애인 인권 분야에서도 VR 기술을 활용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 등 혁신적인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북한인권 운동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다른 인권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소리 기자 윤소리 기자 tto250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북한인권 운동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이 운동이 이제는 2030 세대의 참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통일부가 주최하는 '2030 북한인권 활동가 대상 워크숍'(7월 24~25일)이다. 1세대 활동가들의 헌신으로 시작된 북한인권 운동은 이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 가장 주목받는 내용 중 하나는 '뉴미디어 활용 북한인권 홍보 방안'이다. 1세대에게서 바통을 이어받은 2030 젊은 북한인권 운동가들은 미국 의회 청문에 출석해 탈북민들의 상황과 중국 정부의 국제법 위반 행위 등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워크숍의 또 다른 특징은 한일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이다. 25일에는 일본 연구자들도 참여해 양국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한다. 한일 관계 전문가인 박성훈 교수는 "일본은 납치자 문제 등을 통해 북한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양국의 시민사회가 힘을 모으면 국제사회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UN 등 국제기구에서의 공동 대응, 탈북자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이 구체적인 협력 방안으로 제시될 전망이다. 북한인권 NGO의 세대 구성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통일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북한인권 NGO 활동가 중 2030 세대의 비율은 15%에 불과했으나, 2023년에는 40%까지 증가했다. 또한 활동 영역도 다양화되고 있다. 과거 주로 탈북자 지원과 국제 로비에 집중되었던 활동이 이제는 북한 주민 대상 정보 유입, 디지털 아카이빙, 트라우마 치유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인권 운동과도 맥을 같이한다. 여성인권운동의 경우, 2030 세대의 참여로 온라인 캠페인과 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 등 새로운 방식의 활동이 늘어났다. 장애인 인권 분야에서도 VR 기술을 활용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 등 혁신적인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북한인권 운동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다른 인권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소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