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자립준비청년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디벨롭(D'velop)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자립준비청년이란 만 18세가 되어 보호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퇴소하는 청년들을 말하며, 현재 한국에서는 연간 약 2,000명의 자립준비청년이 사회로 진출하고 있다. 이 사업은 연간 150여 명의 자립준비청년에게 디지털 창업, 창작교육, 취업 연계 등 3가지 과정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실전창업교육, 창작캠프 및 기초창작교육, 직무실습 교육 등이 포함되며, 40여 개의 디지털 기업이 참여해 약 2개월간의 직무실습 기회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구체적인 자격 요건은 만 18세 이상의 자립준비청년 또는 보호대상아동이며, 디지털 분야에 관심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참여자들에게는 프로그램 기간 동안의 교육비와 함께 일정 수준의 생활지원금이 제공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재 150명으로 시작하지만,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켜보며 점진적으로 지원 인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후 취업률과 창업 성공률을 주요 성과 지표로 삼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사업은 해외 유사 프로그램들과 비교했을 때, 디지털 기업들과의 직접적인 연계를 통한 실무 경험 제공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미국, 영국 등에서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한국의 '디벨롭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디지털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기정통부 강도현 2차관은 "자립준비청년이 디지털로 미래를 꿈꾸고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민간과 협력하여 새로운 기회의 장을 마련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디벨롭(D'velop)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자립준비청년은 함께일하는재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을 통해 디지털 포용을 실현하고, 모든 국민이 인공지능·디지털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모범국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윤소리 기자 윤소리 기자 tto250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자립준비청년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디벨롭(D'velop)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자립준비청년이란 만 18세가 되어 보호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퇴소하는 청년들을 말하며, 현재 한국에서는 연간 약 2,000명의 자립준비청년이 사회로 진출하고 있다. 이 사업은 연간 150여 명의 자립준비청년에게 디지털 창업, 창작교육, 취업 연계 등 3가지 과정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실전창업교육, 창작캠프 및 기초창작교육, 직무실습 교육 등이 포함되며, 40여 개의 디지털 기업이 참여해 약 2개월간의 직무실습 기회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구체적인 자격 요건은 만 18세 이상의 자립준비청년 또는 보호대상아동이며, 디지털 분야에 관심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참여자들에게는 프로그램 기간 동안의 교육비와 함께 일정 수준의 생활지원금이 제공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재 150명으로 시작하지만,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켜보며 점진적으로 지원 인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후 취업률과 창업 성공률을 주요 성과 지표로 삼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사업은 해외 유사 프로그램들과 비교했을 때, 디지털 기업들과의 직접적인 연계를 통한 실무 경험 제공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미국, 영국 등에서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한국의 '디벨롭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디지털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기정통부 강도현 2차관은 "자립준비청년이 디지털로 미래를 꿈꾸고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민간과 협력하여 새로운 기회의 장을 마련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디벨롭(D'velop)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자립준비청년은 함께일하는재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을 통해 디지털 포용을 실현하고, 모든 국민이 인공지능·디지털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모범국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윤소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