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여름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많은 지역에서 대규모 수해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서울,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시에서는 하수도 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비가 내리면서 도로와 주택이 침수되고, 교통이 마비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피해로 인해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수백 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 지역 주민들은 신속한 복구와 더불어, 근본적인 하수도 시설 개선을 통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에 따라, 도시의 하수도 시설 개선사업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환경부는 오는 6월 20일부터 8월 19일까지 전국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을 받는다. 이 사업은 과거 또는 향후 침수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지정된 지역에는 하수관 용량 확대, 빗물펌프장 설치, 하수저류시설 설치 등의 하수도 정비 사업이 추진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총 194곳이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를 위해 1조 7,889억 원의 국고가 지원되었다. 올해에도 도시침수대응사업에 3,275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현재까지 53곳의 지역에서 하수도 시설 정비가 완료되어 침수피해 우려가 해소되었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해 하수도 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을 신청하려는 기초 지자체는 과거 침수피해 정도와 향후 침수 가능성, 하수도시설 정비계획 등을 작성하여 신청서를 광역 지자체에 제출하고, 광역 지자체에서 검토 후 환경부에 최종 제출하면 된다. 환경부는 서류 검토와 신청지역 현장 조사를 통해 10월 말에 선정 지역을 고시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하수도 시설 개선이 단순한 인프라 확충을 넘어서 도시의 재난 대응력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한다. 홍수 및 집중호우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와 관리를 통해 하수도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패턴의 변화에 대비해 하수도 설계 기준을 재검토하고 미래의 기후 조건에 맞춘 선제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