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가 동절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위험이 커진 상황을 고려해 관계기관과 함께 방역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주재한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가금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 사례 분석 결과와 지방정부의 방역 이행 상황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해 겨울 발생한 49건의 고병원성 AI 사례를 역학조사한 결과 농장 울타리 미설치, 출입자 소독 미이행, 전용 장화 미착용 등 기본 수칙을 소홀히 한 사례가 다수였다고 설명했다. 최근 방역수칙 위반 건수가 이전 겨울철보다 증가한 점도 지적되면서 농가 단위에서의 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판단이 제기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금농장에서의 조기 감염 확인과 야생조류에서 다양한 혈청형이 검출되는 등 방역 여건이 악화된 만큼 지방정부가 현장 점검과 행정조치를 더욱 엄격하게 이행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특히 철새도래지 인근 농가를 중심으로 예찰을 강화하고 폐사체 수색과 정밀조사를 병행해 위험 요인을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내 야생조류 AI 발생 정보를 관계기관에 신속히 공유하고, 검출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도 주민 경각심 제고를 위해 안전안내문자와 마을방송을 적극 활용하고, 방역수칙 위반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와 살처분 보상 감액 등 불이익을 보다 엄정하게 적용하도록 지방정부에 지시했다.

행정안전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앞으로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농가와 주변 철새 서식 지역을 중심으로 합동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고병원성 AI가 단순한 가축질병을 넘어 지역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지방정부가 방역과 재난 대응 부서 간 협업 체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농가에는 출입자 소독과 전용 장화 착용 등 기본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확산 차단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