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ICOM KOREA), 국립박물관문화재단과 함께 2~31일 전국 320여 개 박물관·미술관이 참여하는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을 개최한다.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은 국제박물관협의회가 박물관·미술관의 중요성과 사회 문화적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확산하고 그 이해를 높이고자 매년 5월 18일로 지정한 '세계 박물관의 날'을 기념해 201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가 선정한 '교육과 연구를 위한 박물관'을 주제로 올해는 지역문화의 균형 발전을 위한 박물관·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담아 지역 박물관의 참여를 확대했다. 뿐만아니라 '로컬100 등 지역의 주요 문화공간을 고려한 여행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올해 배우 박신양 씨를 홍보대사로 위촉해 '뮤지엄×즐기다', '뮤지엄×거닐다', '뮤지엄×그리다'의 내용과 참여 방법을 설명을 맡겼다. 이번 박물관·미술관 주간에서는 △전시와 체험교육 프로그램 '뮤지엄×즐기다'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명소를 전문 해설사와 함께 여행하는 '뮤지엄×거닐다' △나만의 '굿즈'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대국민 참여형 공모전 '뮤지엄×그리다'를 새롭게 운영한다. 충청권에서는 충남 아산의 온양민속박물관, 공주의 한국자연사 박물관, 충북 청주의 우민아트센터·그 어떤·갤러리PA가 '뮤지엄×즐기다'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아산의 온양민속박물관은 2~31일 '박물관 안 수선집Ⅱ:'대대손손''이라는 이름으로 목공예, 가죽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과 협업해 오래된 물건들의 고유한 재료와 쓰임을 재발견하는 시간을 갖는다. 전시연계 워크숍은 모두를 위한 오감각 워크숍과 새로운 가능성을 위한 업사이클 워크숍이라는 주제로 매주 토요일 진행한다. 공주 한국자연사박물관은 6월 30일까지 '이상한 나라의 벅스(BUGS)-지구온난화속을 살아가는 곤충들'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기후변화와 곤충의 상관관계, 그로 인한 인간의 삶의 변화를 알아보는 프로그램으로 많은 방문객에게 지구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만들고자 한다. 청주 우민아트센터는 6월 29일까지 '소문과 빌런의 밤'을 전시한다. 소문을 키워드로 지역의 장소와 사람, 전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상상을 시도하는 전시다. 그어떤은 '기억의 세 가지 조각'을 전시한다. 청주의 기록문화를 시각예술의 차원에서 조명하는 전시로 종이그림부터 디지털예술까지 시각예술과 기록의 교차점에 대해 관람객들에게 설명한다. 갤러리PA의 '인공환기' 전시는 상설프로그램 아트토이 '롤리를 찾아라'와 지역 청년작가들의 전시로 구성된다. '뮤지엄×거닐다'는 지역의 특색 있는 박물관·미술관을 발굴·소개하고 지역에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충북 청주, 경북 경주, 경기 양주, 제주, 강원 양구, 전라 광주에서 총 20회 차, 회차당 30명 내외의 참여자를 모집해 진행한다. 청주에서는 6일, 15일, 24일, 31일에 '뮤지엄 예술로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참여자들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을 시작으로 그어떤, 우민아트센터, 갤러리PA를 거닐게 된다. 박물관·미술관 주간 내 전시 등과 연계한 굿즈 아이디어 공모전인 '뮤지엄×그리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참여가 가능하다. 온라인으로는 2024 박물관미술관주간 홈페이지(https://www.xn--2d3b68pp1a79ecyl.kr/) 내 프로그램 메뉴에서 '뮤지엄×그리다' 탭을 클릭해 신청할 수 있다. 오프라인은 박물관·미술관주간 참여관 방문 후 현장에서 제출하면 된다. 6월 14일에 1차 결과를 발표하고 23일까지 대국민 투표를 거쳐 26일 최종 선정작을 발표한다. 한편 국립민속박물관은 오는 5일 ‘2024 어린이날 한마당’을 열어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과 연계한 팝업부스를 운영한다. 부스 방문자에게는 ‘나만의 뮤지엄 MBTI’로 개인 성향별 맞춤형 박물관·미술관을 추천해주고 추첨을 통해 ‘뮷:즈’를 선물한다. 전병극 문체부 제1차관은 "박물관·미술관주간이 대표적인 문화공간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국민들이 박물관·미술관에 한 발 더 다가가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윤소리 기자 tto250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ICOM KOREA), 국립박물관문화재단과 함께 2~31일 전국 320여 개 박물관·미술관이 참여하는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을 개최한다.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은 국제박물관협의회가 박물관·미술관의 중요성과 사회 문화적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확산하고 그 이해를 높이고자 매년 5월 18일로 지정한 '세계 박물관의 날'을 기념해 201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가 선정한 '교육과 연구를 위한 박물관'을 주제로 올해는 지역문화의 균형 발전을 위한 박물관·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담아 지역 박물관의 참여를 확대했다. 뿐만아니라 '로컬100 등 지역의 주요 문화공간을 고려한 여행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올해 배우 박신양 씨를 홍보대사로 위촉해 '뮤지엄×즐기다', '뮤지엄×거닐다', '뮤지엄×그리다'의 내용과 참여 방법을 설명을 맡겼다. 이번 박물관·미술관 주간에서는 △전시와 체험교육 프로그램 '뮤지엄×즐기다'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명소를 전문 해설사와 함께 여행하는 '뮤지엄×거닐다' △나만의 '굿즈'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대국민 참여형 공모전 '뮤지엄×그리다'를 새롭게 운영한다. 충청권에서는 충남 아산의 온양민속박물관, 공주의 한국자연사 박물관, 충북 청주의 우민아트센터·그 어떤·갤러리PA가 '뮤지엄×즐기다'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아산의 온양민속박물관은 2~31일 '박물관 안 수선집Ⅱ:'대대손손''이라는 이름으로 목공예, 가죽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과 협업해 오래된 물건들의 고유한 재료와 쓰임을 재발견하는 시간을 갖는다. 전시연계 워크숍은 모두를 위한 오감각 워크숍과 새로운 가능성을 위한 업사이클 워크숍이라는 주제로 매주 토요일 진행한다. 공주 한국자연사박물관은 6월 30일까지 '이상한 나라의 벅스(BUGS)-지구온난화속을 살아가는 곤충들'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기후변화와 곤충의 상관관계, 그로 인한 인간의 삶의 변화를 알아보는 프로그램으로 많은 방문객에게 지구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만들고자 한다. 청주 우민아트센터는 6월 29일까지 '소문과 빌런의 밤'을 전시한다. 소문을 키워드로 지역의 장소와 사람, 전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상상을 시도하는 전시다. 그어떤은 '기억의 세 가지 조각'을 전시한다. 청주의 기록문화를 시각예술의 차원에서 조명하는 전시로 종이그림부터 디지털예술까지 시각예술과 기록의 교차점에 대해 관람객들에게 설명한다. 갤러리PA의 '인공환기' 전시는 상설프로그램 아트토이 '롤리를 찾아라'와 지역 청년작가들의 전시로 구성된다. '뮤지엄×거닐다'는 지역의 특색 있는 박물관·미술관을 발굴·소개하고 지역에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충북 청주, 경북 경주, 경기 양주, 제주, 강원 양구, 전라 광주에서 총 20회 차, 회차당 30명 내외의 참여자를 모집해 진행한다. 청주에서는 6일, 15일, 24일, 31일에 '뮤지엄 예술로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참여자들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을 시작으로 그어떤, 우민아트센터, 갤러리PA를 거닐게 된다. 박물관·미술관 주간 내 전시 등과 연계한 굿즈 아이디어 공모전인 '뮤지엄×그리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참여가 가능하다. 온라인으로는 2024 박물관미술관주간 홈페이지(https://www.xn--2d3b68pp1a79ecyl.kr/) 내 프로그램 메뉴에서 '뮤지엄×그리다' 탭을 클릭해 신청할 수 있다. 오프라인은 박물관·미술관주간 참여관 방문 후 현장에서 제출하면 된다. 6월 14일에 1차 결과를 발표하고 23일까지 대국민 투표를 거쳐 26일 최종 선정작을 발표한다. 한편 국립민속박물관은 오는 5일 ‘2024 어린이날 한마당’을 열어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과 연계한 팝업부스를 운영한다. 부스 방문자에게는 ‘나만의 뮤지엄 MBTI’로 개인 성향별 맞춤형 박물관·미술관을 추천해주고 추첨을 통해 ‘뮷:즈’를 선물한다. 전병극 문체부 제1차관은 "박물관·미술관주간이 대표적인 문화공간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국민들이 박물관·미술관에 한 발 더 다가가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