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 전경. 시계방향으로 충북혁신도시, 내포신도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사진 = 충북도, 충남도, 세종시, 대전시 제공 
충청권 4개 시·도 전경. 시계방향으로 충북혁신도시, 내포신도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사진 = 충북도, 충남도, 세종시, 대전시 제공 

충청권 4개 시·도가 2026년도 예산안을 확정해 심의를 앞두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의 총예산 규모는 30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조 7000억 원 늘었다. 각 지자체는 핵심 과제 완성과 복지·첨단산업·균형발전을 예산 편성의 축으로 삼았다.

충북도는 7조 6703억 원 규모의 예산안을 편성해 올해보다 7%(5020억 원) 증액했다. 세입은 지방세 1조 9367억 원, 세외수입 758억 원, 국고보조금 3조 6410억 원으로 구성됐고 지방채 1600억 원을 새로 발행했다. 분야별로는 복지·보건에 2조 8614억 원을 투입해 일하는 밥퍼 확대(103억 원), 청년인턴제 신설 (6억 원), 의료취약지역 이동진료 (2억 원) 등 지역 맞춤형 복지와 청년 일자리 사업을 강화했다. 

AI·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혁신과 소상공인 지원에는 2029억 원을 반영했고, 관광객 5천만 명 시대를 목표로 문화예술복합시설(100억 원)과 그림책정원 1937(14억 원) 조성 등 관광 인프라 확충에도 2065억  원을 배정했다. 또 수소·전기차 보급(1010억 원)과 도시농부 육성 (53억 원), 상수도 현대화(354억 원) 등 농업·환경 분야에 1조 2790억 원을, 도로 확포장과 청주공항 국제노선 지원 등을 포함한 안전·SOC 분야에 9892억 원을 배정했다.

충남도는 내년 예산안을 12조 4628억 원으로 편성해 올해보다 5.9%(6957억 원) 늘렸다. 일반회계는 10조 6038억 원으로 9.2% 증가했다. 충남도는 '돈이 되는 농업'과 '탄소중립경제'를 핵심 기조로 설정하고 미래산업과 균형발전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예고했다. 

농어촌 분야에는 충남형 팜맵 구축(20억 원), 스마트축산발전기금(50억 원), 스마트양식단지 조성(77억 원), 청년자립형 스마트팜 지원(47억 원) 등 미래형 농업구조 개편에 집중했다. 산업·혁신 분야에서는 충남경제자유구역 추진(12억 원), 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869억 원), 스마트도시 조성(88억 원) 등 지역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한 기반사업을 확대했다. 

탄소중립경제 실현을 위해 수소도시 조성(187억 원), 수소차 보급(296억 원), 그린바이오벤처캠퍼스 조성(65억 원)에도 재원을 투입한다. 내포역 신설(130억 원), 지방도 정비(1025억 원), 균형발전특별회계 전출금(574억 원) 등 지역균형사업도 대폭 반영했다. 

도립미술관 건립 및 공영주차장 조성(506억 원),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1020억 원), 힘쎈충남 풀케어 돌봄(125억 원) 등 안전·복지 사업도 병행된다. 

세종시는 2조 829억 원으로 내년 예산안을 편성해 올해보다 5.1% (1013억 원) 증액했다. 내년 주요 사업에는 2031년 완공 예정인 스마트국가산단 진입도로·배수지 설계비(46억 원),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운영비(185억 원),  전동면 친환경종합타운 설계비(66억 원) 등이 포함됐다. 

복지예산은 5869억 원으로 9.2% 늘어 아동수당(406억 원), 부모급여(368억 원), 출생축하금(35억 원), 노인기초연금(947억 원), 장애인활동지원(192억 원) 등이 반영됐다. 이응패스(청년교통비) 지원 48억 원, 한글미술관 조성 19억 원, 한글축제 8억 5000만 원 등 청년·문화 분야 예산도 강화됐다. 세종시는 내년 지방채 736억 원을 발행해 SOC와 청년지원 사업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7조 582억 원 규모의 예산안을 마련해 올해보다 5.7%(3811억 원) 늘렸다. 대전시는 긴축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 민생경제 안정과 미래세대 투자를 병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2400억 원, 안영생활체육단지 2단계 160억 원, 무궤도 트램 68억 원, 도로개설 261억 원 등 대규모 SOC 사업을 추진한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초저금리 융자 410억 원, 경영회복지원 136억 원, 지역화폐 발행 60억 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도 확대됐다. 영유아보육료 1319억 원, 대전형 양육수당 527억 원, 아이돌봄 236억 원 등 보육 예산과 함께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160억 원, 청년월세 지원 144억 원, 노인일자리 897억 원, 기초연금 5631억 원 등 생애 주기별 복지지출이 두드러졌다. 

RISE 사업(724억 원), 글로컬 대학(150억 원), 교육발전특구(20억 원) 등 지역대학 협력사업과 바이오헬스·로봇·양자 등 6대 전략산업 예산도 포함됐다.

충청권은 내년 예산안에 공통적으로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 충북과 대전은 복지와 민생 중심, 충남은 농업 혁신 및 신산업 기반 구축, 세종은 문화·복지·교육 중심의 재정 운용을 1순위로 삼았다. 반면 재정 여건이 일제히 경직돼 지방채 발행이 불가피했다는 점에서 긴축 속 확장재정이라는 공통 과제를 안고 있다. /이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