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22일 국정감사는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드러냈다. 해양경찰 직원이 바다에 빠진 지 78분 만에 본청 보고가 이뤄졌고, 캄보디아에서 한국 대학생이 사망한 후 두 달 넘게 시신 송환조차 되지 않았다. 사고가 터지면 어김없이 나오는 것은 "죄송하다"는 사과뿐이다. 정작 골든타임에는 누구도 책임지고 움직이지 않는 무책임한 행정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 9월 11일 고 이재석 경사가 단속 중 바다에 빠졌다. 교신 두절 후 78분이 지나서야 본청에 보고됐고, 야간 근무 인력은 고작 2명, 구명조끼와 위치표시 장비마저 없었다. 의원들이 "조금만 주의했어도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고 지적한 것은 과장이 아니다. 캄보디아에서는 대학생 사망 후 두 달간 시신 송환이 지연됐지만 정부 고위직의 직접 개입은 없었다. 대사 공석이 장기화되면서 외교 채널은 작동하지 않았고, 유족들은 고통 속에서 기다려야 했다. 이들 사건의 공통점은 명확하다. 초기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쳤고, 인력과 자원 부족을 방치했으며, 사후 책임 추궁은 흐지부지됐다. 보고 중심의 관료주의는 현장의 신속한 판단을 가로막는다. "일단 위에 보고하고 지시를 기다리자"는 문화에서는 생명을 지킬 수 없다. 현장에 권한을 부여하고, 인력과 예산을 확충하며, 사고 발생 시 명확히 문책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국민은 정부가 위기에서 자신을 지켜주리라 믿는다. 하지만 78분 지연, 두 달 방치는 그 신뢰를 배반하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가 또다시 일회성 질타로 끝나서는 안 된다. 정부는 위기 대응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하고, 현장 중심의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다음 위기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그때도 또다시 골든타임을 놓칠 것인가.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22일 국정감사는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드러냈다. 해양경찰 직원이 바다에 빠진 지 78분 만에 본청 보고가 이뤄졌고, 캄보디아에서 한국 대학생이 사망한 후 두 달 넘게 시신 송환조차 되지 않았다. 사고가 터지면 어김없이 나오는 것은 "죄송하다"는 사과뿐이다. 정작 골든타임에는 누구도 책임지고 움직이지 않는 무책임한 행정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 9월 11일 고 이재석 경사가 단속 중 바다에 빠졌다. 교신 두절 후 78분이 지나서야 본청에 보고됐고, 야간 근무 인력은 고작 2명, 구명조끼와 위치표시 장비마저 없었다. 의원들이 "조금만 주의했어도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고 지적한 것은 과장이 아니다. 캄보디아에서는 대학생 사망 후 두 달간 시신 송환이 지연됐지만 정부 고위직의 직접 개입은 없었다. 대사 공석이 장기화되면서 외교 채널은 작동하지 않았고, 유족들은 고통 속에서 기다려야 했다. 이들 사건의 공통점은 명확하다. 초기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쳤고, 인력과 자원 부족을 방치했으며, 사후 책임 추궁은 흐지부지됐다. 보고 중심의 관료주의는 현장의 신속한 판단을 가로막는다. "일단 위에 보고하고 지시를 기다리자"는 문화에서는 생명을 지킬 수 없다. 현장에 권한을 부여하고, 인력과 예산을 확충하며, 사고 발생 시 명확히 문책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국민은 정부가 위기에서 자신을 지켜주리라 믿는다. 하지만 78분 지연, 두 달 방치는 그 신뢰를 배반하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가 또다시 일회성 질타로 끝나서는 안 된다. 정부는 위기 대응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하고, 현장 중심의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다음 위기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그때도 또다시 골든타임을 놓칠 것인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