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국제 금값이 21일(현지시간) 급락하며 올해 이어진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단기 급등으로 인한 차익실현 매도와 위험자산 선호 회복이 맞물리면서 하락세를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45분(미 동부시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4115.26달러로 전일 대비 5.5% 떨어졌다. 이는 2020년 8월 이후 일일 기준 최대 낙폭이다. 같은 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12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4109.1달러로 5.7% 하락 마감했다. 국제 금값은 올 들어 약 60% 급등하며 전날 온스당 4381달러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미국 주요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위험자산으로의 자금 이동이 일어나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약화됐다. 이에 따라 단기 고점 부담이 커진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쏟아졌다. 최대 금 소비국인 인도가 힌두교 최대 명절 '디왈리'로 휴장에 들어간 점도 거래량을 줄이며 낙폭을 확대시켰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도 시장의 휴장으로 유동성이 줄어 금 가격 변동성이 커졌다"고 전했다. 귀금속 전문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최근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가 높아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약세 요인이 작용했다"고 말했다. 한편 은 가격은 낙폭이 더 컸다. 국제 은 현물은 전장 대비 7.6% 내린 온스당 48.49달러에 거래됐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4일로 예정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로 쏠리고 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지표 공개가 지연됐지만, 노동통계국은 당초 일정보다 9일 늦은 24일에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CPI 결과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은 이자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금리가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매력이 커진다. 따라서 CPI가 물가 안정 신호를 보일 경우 금값이 다시 반등할 여지도 있다. /이승현 기자 이승현 기자 lee@sejongilbo.co.kr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국제 금값이 21일(현지시간) 급락하며 올해 이어진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단기 급등으로 인한 차익실현 매도와 위험자산 선호 회복이 맞물리면서 하락세를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45분(미 동부시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4115.26달러로 전일 대비 5.5% 떨어졌다. 이는 2020년 8월 이후 일일 기준 최대 낙폭이다. 같은 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12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4109.1달러로 5.7% 하락 마감했다. 국제 금값은 올 들어 약 60% 급등하며 전날 온스당 4381달러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미국 주요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위험자산으로의 자금 이동이 일어나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약화됐다. 이에 따라 단기 고점 부담이 커진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쏟아졌다. 최대 금 소비국인 인도가 힌두교 최대 명절 '디왈리'로 휴장에 들어간 점도 거래량을 줄이며 낙폭을 확대시켰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도 시장의 휴장으로 유동성이 줄어 금 가격 변동성이 커졌다"고 전했다. 귀금속 전문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최근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가 높아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약세 요인이 작용했다"고 말했다. 한편 은 가격은 낙폭이 더 컸다. 국제 은 현물은 전장 대비 7.6% 내린 온스당 48.49달러에 거래됐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4일로 예정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로 쏠리고 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지표 공개가 지연됐지만, 노동통계국은 당초 일정보다 9일 늦은 24일에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CPI 결과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은 이자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금리가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매력이 커진다. 따라서 CPI가 물가 안정 신호를 보일 경우 금값이 다시 반등할 여지도 있다. /이승현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