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 전경. 시계방향으로 충북혁신도시, 내포신도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사진 = 충북도, 충남도, 세종시, 대전시 제공 충청권 생활인구 통계는 행정구역 단위로 짜여진 기존 정책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자료에 따르면 충북과 충남의 주요 생활인구 유입지는 대전과 세종으로 나타났다. 충북은 대전 서구와 동구, 충남은 대전 서구와 세종에서의 유입이 두드러졌다. 충청권 4개 시도가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여 움직이고 있음을 통계가 확인해 준 셈이다. 그러나 정책은 여전히 행정구역에 갇혀 있다. 광역 단위로 생활인구가 활발히 오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서비스와 재정지원은 개별 시·도의 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산정된다. 그 결과 실제 수요와 지원의 간극이 커지고, 생활권 단위로 발생하는 교통, 교육, 환경 문제는 효과적으로 대응되지 못한다. 대전과 세종으로 출퇴근하거나 충북과 충남으로 관광·휴양을 즐기러 오는 생활인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을 포괄할 정책은 부재한 실정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충청권 체류 인구의 평균 체류시간은 12시간 안팎, 평균 숙박일수는 3~4일 수준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방문을 넘어 일정 기간 머물며 지역 경제와 생활 인프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충북 옥천읍, 충남 공주 정안면 등에서는 외부 체류인구의 집중이 뚜렷했다. 이는 더 이상 행정구역 경계만으로는 지역 현실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방증한다. 지방소멸과 인구감소라는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활인구 개념을 정책 전반에 반영해야 한다. 등록 인구만으로는 지역 활력의 실제 모습을 담아낼 수 없다. 충청권이 보여주듯 생활인구는 행정경계를 넘나들며 움직이고, 이는 곧 광역 단위의 정책 협력과 생활권 중심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행정구역의 울타리를 벗어나야만 충청권이 직면한 정주 기반 약화와 생활 인프라 불균형 문제를 풀 수 있다. 관련기사 평일엔 비고 주말엔 붐빈다…‘생활인구 주말 쏠림’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충청권 4개 시·도 전경. 시계방향으로 충북혁신도시, 내포신도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사진 = 충북도, 충남도, 세종시, 대전시 제공 충청권 생활인구 통계는 행정구역 단위로 짜여진 기존 정책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자료에 따르면 충북과 충남의 주요 생활인구 유입지는 대전과 세종으로 나타났다. 충북은 대전 서구와 동구, 충남은 대전 서구와 세종에서의 유입이 두드러졌다. 충청권 4개 시도가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여 움직이고 있음을 통계가 확인해 준 셈이다. 그러나 정책은 여전히 행정구역에 갇혀 있다. 광역 단위로 생활인구가 활발히 오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서비스와 재정지원은 개별 시·도의 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산정된다. 그 결과 실제 수요와 지원의 간극이 커지고, 생활권 단위로 발생하는 교통, 교육, 환경 문제는 효과적으로 대응되지 못한다. 대전과 세종으로 출퇴근하거나 충북과 충남으로 관광·휴양을 즐기러 오는 생활인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을 포괄할 정책은 부재한 실정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충청권 체류 인구의 평균 체류시간은 12시간 안팎, 평균 숙박일수는 3~4일 수준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방문을 넘어 일정 기간 머물며 지역 경제와 생활 인프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충북 옥천읍, 충남 공주 정안면 등에서는 외부 체류인구의 집중이 뚜렷했다. 이는 더 이상 행정구역 경계만으로는 지역 현실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방증한다. 지방소멸과 인구감소라는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활인구 개념을 정책 전반에 반영해야 한다. 등록 인구만으로는 지역 활력의 실제 모습을 담아낼 수 없다. 충청권이 보여주듯 생활인구는 행정경계를 넘나들며 움직이고, 이는 곧 광역 단위의 정책 협력과 생활권 중심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행정구역의 울타리를 벗어나야만 충청권이 직면한 정주 기반 약화와 생활 인프라 불균형 문제를 풀 수 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