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2026년도 예산안에서 행정안전부, 환경부, 중소벤처기업부 3개 부처 예산이 총 109조 144억 원으로 책정돼 전년 대비 9조 5706억 원(9.6%) 늘어났다. 이번 예산안의 핵심 특징은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 지역에 대한 집중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 예산이 대폭 배정된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경우 16조 8449억 원 규모로 10.5% 증액 편성했다. 특히 지역의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한 R&D 지원사업에 969억 원을 투입해 전년보다 349.6%나 대폭 늘렸고, 글로벌혁신특구 육성에는 177억 원으로 27.2% 확대했다. 충청권 글로컬 상권 육성을 위한 지역상권르네상스 2.0 사업에는 378억 원이 할당됐다.

환경부는 15조 9160억 원으로 7.5% 증액된 예산을 편성했으며, 그중 물관리 예산이 7조 3135억 원으로 14.3% 증가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대전·충북 등 도심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한 하수관로 정비에 3855억 원(22.9% 증가), 국가하천 관리에 2969억 원(13.3% 증가)을 배정했다. AI 기반 홍수예보 시스템 구축에는 215억 원으로 전년보다 126.6% 크게 늘렸다.

행정안전부는 전년 본예산보다 43.8% 대폭 증액된 6조 6665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지역 자원을 활용한 마을기업 육성사업 예산은 17억 원에서 53억 원으로 3배 이상 확대됐고, 충남·세종·대전 등 비수도권 자치단체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은 1조 1500억 원으로 1500억 원 늘어났다. 충남 서해안 지역 발전을 위한 섬 지역 개발 협력사업(153억 원)과 서해5도 종합발전 지원(107억 원)도 확대 편성됐다.

이번 예산안은 AI·디지털 혁신, 기후변화 대응, 지방 경쟁력 강화를 주요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수도권에 집중된 자원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려는 정부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충청권은 특히 지역 자립 기반 마련, 도시 인프라 개선,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등에서 우선 투자 지역으로 선정됐다. 최종 예산 확정은 국회 심의를 거쳐 결정되지만, 현재 정부안만 봐도 '지역 중심 성장'으로의 정책 전환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