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올해 충청권 전통시장과 소상공인들의 경기 체감 수준이 전국 평균을 밑도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8월 현재 전통시장 경기 체감지수를 보면 △대전 51.4 △세종 48.4 △충북 51.1 △충남 50.7로, 모두 전국 평균 52.4에 미치지 못하거나 근접한 정도에 그쳤다. 소상공인 체감지수도 △대전 61.1 △세종 59.6 △충북 60.3 △충남 58.3으로 전국 평균 61.6을 모두 하회했다.

이 같은 결과는 충청권 지역의 체감 경기가 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함을 드러낸다. 특히 소상공인들은 5월 이후 체감지수가 지속적으로 내려가며 하반기에 들어서도 뚜렷한 회복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세종과 충남의 경우 6월부터 3개월째 하락세가 계속됐다. 전통시장 체감지수는 3월 바닥을 찍은 뒤 약간의 반등을 시도하고 있지만, 상승 폭이 미미하고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이다.

주목할 부분은 전망지수와 체감지수 사이의 간격이 지역별로 선명하게 드러났다는 점이다. 전통시장의 경우 8월 대전의 전망–체감 격차가 24.2p, 충남이 23.2p로 전국 평균 21.2p와 비슷하거나 더 큰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앞으로의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가 현재 체감하는 수준에 비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상공인 분야에서도 대전(20.6p), 충남(21.2p), 세종(18.8p), 충북(17.4p) 모두 8월에 두 자릿수 간격을 보였다.

충청권 안에서도 지역 간 차이는 상당했다. 세종의 경우 전통시장 전망지수가 70.8로 전국 평균(73.6)에 못 미쳤고, 소상공인 전망지수도 78.4로 평균(80.2)보다 낮았다. 반대로 대전은 두 지표 모두 전국 평균을 넘어서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런 차이는 지역마다 다른 산업 구조와 소비 심리, 유통 환경이 작용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은 전망지수에 비해 체감지수의 괴리가 커질 때 정책에 대한 신뢰 하락이나 단기 체감 악화가 계속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이런 수치들은 충청권 경기가 단기적 체감 위축과 중장기 회복 기대가 뒤섞인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체감지수와 전망지수의 차이가 몇 달 이상 지속되면 소비 심리 위축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어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8월 기준으로 충청권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경기 전망지수는 대부분 전국 평균과 엇비슷하거나 약간 위인 수준을 나타냈는데, 이는 하반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 심리가 어느 정도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체감지수가 함께 개선되지 않으면 이런 기대가 실제 경기 회복으로 연결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따른다. 이런 불균형을 바로잡으려면 단기 체감 개선을 끌어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