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전국 사업체 현황 분석이 흥미로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한식음식점의 신규 창업 비중이 13.57%로 전년 대비 0.36%포인트 상승한 반면, 커피음료점은 3.93%로 0.33%포인트 하락했다. 단순한 업종별 부침처럼 보이지만, 이 속에는 우리 사회의 소비 패턴 변화가 담겨 있다. 한식집 증가는 1인 가구 확산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다. 배달 문화의 정착으로 치킨, 족발, 찜닭 등 한식 메뉴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것도 한몫했다. 반면 커피전문점 감소는 시장 포화와 대형 프랜차이즈의 공격적 확장, 편의점 커피 품질 향상에 따른 결과다. 재택근무 확산으로 오피스 상권 커피 수요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주목할 점은 피부관리업(2.53%), 미용실(1.73%), 교습학원(1.62%) 등 개인 서비스업종이 상승세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자기계발과 자기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를 반영한다.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외모 관리 욕구의 분출과 평생학습 인식 확산의 결과다. 통신판매업은 36.16%의 높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0.42%포인트 하락했다. 온라인 쇼핑 시장 성숙과 대형 플랫폼의 독과점화가 개별 업체 생존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신호다. 부동산중개업 감소(-0.24%p)도 시장 침체와 규제 강화의 자연스러운 결과다. 한식집 증가와 커피숍 감소로 상징되는 이번 변화는 우리 사회가 '과시보다는 실속', '트렌드보다는 본질'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책당국은 이런 변화를 소상공인 지원 정책 재정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무차별적 창업 지원보다는 시장 변화 적응 역량 강화와 업종 전환 지원에 더 무게를 둘 때다. 관련기사 인천 폐업률 최고·전남 최저…지역별 자영업 희비 엇갈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최근 발표된 전국 사업체 현황 분석이 흥미로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한식음식점의 신규 창업 비중이 13.57%로 전년 대비 0.36%포인트 상승한 반면, 커피음료점은 3.93%로 0.33%포인트 하락했다. 단순한 업종별 부침처럼 보이지만, 이 속에는 우리 사회의 소비 패턴 변화가 담겨 있다. 한식집 증가는 1인 가구 확산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다. 배달 문화의 정착으로 치킨, 족발, 찜닭 등 한식 메뉴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것도 한몫했다. 반면 커피전문점 감소는 시장 포화와 대형 프랜차이즈의 공격적 확장, 편의점 커피 품질 향상에 따른 결과다. 재택근무 확산으로 오피스 상권 커피 수요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주목할 점은 피부관리업(2.53%), 미용실(1.73%), 교습학원(1.62%) 등 개인 서비스업종이 상승세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자기계발과 자기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를 반영한다.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외모 관리 욕구의 분출과 평생학습 인식 확산의 결과다. 통신판매업은 36.16%의 높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0.42%포인트 하락했다. 온라인 쇼핑 시장 성숙과 대형 플랫폼의 독과점화가 개별 업체 생존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신호다. 부동산중개업 감소(-0.24%p)도 시장 침체와 규제 강화의 자연스러운 결과다. 한식집 증가와 커피숍 감소로 상징되는 이번 변화는 우리 사회가 '과시보다는 실속', '트렌드보다는 본질'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책당국은 이런 변화를 소상공인 지원 정책 재정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무차별적 창업 지원보다는 시장 변화 적응 역량 강화와 업종 전환 지원에 더 무게를 둘 때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