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KDI가 12일 내놓은 경제전망 수정안에 따르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과 동일한 0.8%로 그대로 두었다. 2차 추경 효과로 인한 소비 증가와 반도체 업황 개선 등 긍정적 요소들이 있었으나, 건설 부문의 지속적인 부진이 이를 상쇄하면서 성장률 상향 조정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은 기존 1.1%에서 1.3%로 0.2%포인트 높아졌다. 기준금리 인하 흐름과 소비쿠폰 지급 등의 정책적 지원이 소비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KDI 측은 2차 추경만으로도 GDP를 0.1%포인트가량 끌어올리는 효과를 거뒀다고 봤다. 다만 GDP 전체 규모 대비 영향은 제한적이고, 기존 소비를 단순 대체하는 측면도 있어 실질적인 소비 촉진 효과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소비 회복세에 힘입어 물가 전망도 소폭 상향 수정되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7%에서 2.0%로, 근원물가는 1.8%에서 1.9%로 각각 올려 잡았다. KDI는 민간소비 확대가 수요 측면의 상승 압력을 높였고, 국제유가 하락 폭이 예상보다 작았던 것이 공급 측면에서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유류세와 공공요금이 인상되었음에도 전체적인 수요 압박이 크지 않아 물가 오름세는 완만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경제성장률은 2020년대 들어 처음으로 연속 두 해 0%대 성장을 기록하게 되었다. KDI는 올해 성장률을 0.8%로 유지하고, 내년에는 1.6%로 다소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회복세는 미미한 수준이며, 2026년 상품수출 증가율도 0.2%에 머물 것으로 보여 저성장 국면이 장기간 지속될 우려가 나온다.

KDI는 민간소비 개선세를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내수 의존적 성장 패턴의 한계를 우려했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이 관세 이슈 등으로 둔화되고 있고, 건설투자 침체도 계속되면서 불안 요소로 남아있다. 성장률은 정체 상태인 가운데 물가는 서서히 오르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정책적 대응 공간을 좁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