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2분기 구직급여 신청자 수는 총 274119명으로 집계됐다. 월별로는 4월 102888명, 5월 85205명, 6월 86026명으로, 전체적인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고용 불안정 흐름은 이어지고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신청자 수는 코로나19 이후 급증했던 국면에서 다소 안정화됐으나,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여전히 높은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신청자 수가 각각 46244명, 36330명으로 나타났다. 고용 안정성이 낮은 계층에 집중된 양상은 반복적 실업과 재취업 실패가 고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청년층은 비정규직과 시간제 고용의 확산, 고령층은 저임금·비정규직 재취업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실제로 2024년 기준 20대 비정규직 비중은 43.1%로,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고령층 수급자 비중도 2013년 10.9%에서 2023년 25.1%로 상승하며 구조적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복 수급자 수도 적지 않았다. 2025년 2분기 기준 2회 이상 구직급여를 신청한 인원은 총 7만9493명, 이 중 3회 이상 신청자는 2만7549명, 5회 이상 신청자는 2638명에 달했다. 반복 수급자가 많은 업종은 공공행정, 운수업, 농림어업, 사업시설지원서비스업 등으로, 근속기간이 짧고 재취업까지의 기간이 짧은 특성이 확인됐다. 고용시장의 회복 탄력성이 낮아 불안정한 고용 상태가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인 미만 중소사업장을 중심으로 신청자가 집중됐다. 5인 미만 사업장 신청자는 67769명, 5~29인 사업장은 4만663명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고용 충격에 더 취약하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이직률 통계에서도 중소규모 사업장의 퇴사율과 폐업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에서 총 7만2024명의 신청자가 발생했다. 해당 지역은 고용률이 전국 평균과 유사하거나 상회하지만, 비정규직 비율은 세종을 제외하면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난다. 충북의 비정규직 비율은 40.1%, 대전은 39.5%로 고용의 질 측면에서는 여전히 취약하다. 산업 구조상 비정규직 일자리가 밀집한 업종이 많고, 소규모 사업장 중심의 고용 기반이 실업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반복 수급자에 대한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부터 5년 내 3회 이상 수급자에 대해 재취업활동계획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실업인정 주기를 4주에서 2주로 단축했다. 또한 청년 일경험 지원 확대, 고령자계속고용장려금 확대 등 고용서비스 강화를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노동시장 전반의 구조적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확대, 고령층 맞춤형 재취업 프로그램 강화, 반복 수급자 대상 고용 훈련 연계체계 정비 등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