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대전시는 14일부터 전동킥보드의 무단 주·정차를 시민이 직접 신고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시스템'을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지난해 11월 개발을 완료한 뒤 자치구 도보 단속요원을 활용한 시범 운영과 기능 개선, 서버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도입됐다. 신고 대상은 도로교통법상 주·정차가 금지된 구역에 방치된 전동킥보드로, PM 전용 주차존이나 '타슈'·자전거 거치대에 정상적으로 주차된 경우는 제외된다. 신고는 포털에서 '대전시 전동킥보드 신고'를 검색하거나, 대전시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시스템에 접속해 접수하면 된다. 공유 전기자전거는 자전거로 분류돼 견인 대상은 아니지만, 시민 신고 시 대여업체가 직접 수거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전시 5개 자치구는 해당 시스템을 통해 무단 방치된 전동킥보드 견인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신고 후 1시간 이내 대여업체가 기기를 수거하지 않으면, 유예시간 경과 후 견인업체가 해당 기기를 견인하게 된다. 현재 대전시에는 8개 대여업체가 총 1만 1600여 대의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를 운영 중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무단 방치된 전동킥보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시민 신고시스템 도입을 통해 불편을 줄이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PM 이용자는 반드시 지정된 주차구역을 이용하는 등 올바른 이용문화 정착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성재 기자 이성재 기자 a1065@sejongilbo.co.kr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대전시는 14일부터 전동킥보드의 무단 주·정차를 시민이 직접 신고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시스템'을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지난해 11월 개발을 완료한 뒤 자치구 도보 단속요원을 활용한 시범 운영과 기능 개선, 서버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도입됐다. 신고 대상은 도로교통법상 주·정차가 금지된 구역에 방치된 전동킥보드로, PM 전용 주차존이나 '타슈'·자전거 거치대에 정상적으로 주차된 경우는 제외된다. 신고는 포털에서 '대전시 전동킥보드 신고'를 검색하거나, 대전시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시스템에 접속해 접수하면 된다. 공유 전기자전거는 자전거로 분류돼 견인 대상은 아니지만, 시민 신고 시 대여업체가 직접 수거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전시 5개 자치구는 해당 시스템을 통해 무단 방치된 전동킥보드 견인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신고 후 1시간 이내 대여업체가 기기를 수거하지 않으면, 유예시간 경과 후 견인업체가 해당 기기를 견인하게 된다. 현재 대전시에는 8개 대여업체가 총 1만 1600여 대의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를 운영 중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무단 방치된 전동킥보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시민 신고시스템 도입을 통해 불편을 줄이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PM 이용자는 반드시 지정된 주차구역을 이용하는 등 올바른 이용문화 정착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성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