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기상이변으로 인한 꿀벌 집단 폐사에 대응하기 위해 다섯 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꿀벌 보호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1일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특별 세션으로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다부처 공동연구사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국립산림과학원을 비롯해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기상과학원이 참여해 각 기관의 중간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발표 내용에는 기후변화 대응 밀원수종 개발, 꿀벌 질병 진단과 제어기술, 스마트 양봉관리, 화분매개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 다양한 주제가 포함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에 적합한 밀원수 개발과 밀원단지 조성 모델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전 세계 농작물 생산량의 약 35%가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중 꿀벌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살충제 사용, 서식지 파괴, 꿀벌응애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꿀벌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5개 부처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총 484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국립산림과학원 권해연 산림특용자원연구과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꿀벌 집단 폐사 문제는 생태계와 농업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며 "관계 부처와 협력해 꿀벌 생존을 위한 과학적 해법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