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 통계는 몇 가지 착시 속에 있다. 겉으로는 131억 달러라는 신고 실적이 버티고 있지만, 실제로 외국 자본이 들어온 도착액은 그보다 한참 밑도는 72.9억 달러에 그쳤다. 더 큰 문제는 그 유입마저도 수도권에 몰리고, 지방은 철저히 외면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비수도권의 FDI 신고금액은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고, 실제 도착액도 감소세를 보였다. 충남·충북·대전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50~70% 이상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그나마 세종시만 증가한 것은 기저효과에 불과하다. 반면, 수도권은 서비스업 대형 M&A 유입에 힘입어 신고와 도착 모두 안정세를 보였다. 이는 단기적 통계의 흔들림이 아니라 구조적 경고다. 글로벌 제조업 투자의 방향이 흔들리는 가운데, 공장 입지가 중요한 제조업 기반 지역은 투자 불확실성의 직격탄을 맞는다. 여기에 지난해 말 국내 정치 불안까지 겹치며, 외국 투자가들이 지방을 ‘위험지역’으로 인식하는 흐름도 감지된다. 정부는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방향이 문제다. 지금처럼 수도권 소재 대형 기업에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라면 지역 간 격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 FDI를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실효성을 평가하는 잣대가 ‘신고’가 아닌 ‘도착’이어야 하는 이유다. 지방은 단지 유치 실적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외국 자본이 전략적으로 꺼리는 구조로 고착화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신고 실적만 앞세운 통계 발표는 실상을 가리기에 급급한 ‘성적 부풀리기’에 지나지 않는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대형 투자건 밀착관리보다 더 본질적인 처방, 즉 지방의 산업입지 경쟁력과 공급망 기반을 끌어올릴 수 있는 투자환경 전환에 나서야 한다.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돈은 계속 수도권에만 머무를 것이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 통계는 몇 가지 착시 속에 있다. 겉으로는 131억 달러라는 신고 실적이 버티고 있지만, 실제로 외국 자본이 들어온 도착액은 그보다 한참 밑도는 72.9억 달러에 그쳤다. 더 큰 문제는 그 유입마저도 수도권에 몰리고, 지방은 철저히 외면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비수도권의 FDI 신고금액은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고, 실제 도착액도 감소세를 보였다. 충남·충북·대전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50~70% 이상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그나마 세종시만 증가한 것은 기저효과에 불과하다. 반면, 수도권은 서비스업 대형 M&A 유입에 힘입어 신고와 도착 모두 안정세를 보였다. 이는 단기적 통계의 흔들림이 아니라 구조적 경고다. 글로벌 제조업 투자의 방향이 흔들리는 가운데, 공장 입지가 중요한 제조업 기반 지역은 투자 불확실성의 직격탄을 맞는다. 여기에 지난해 말 국내 정치 불안까지 겹치며, 외국 투자가들이 지방을 ‘위험지역’으로 인식하는 흐름도 감지된다. 정부는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방향이 문제다. 지금처럼 수도권 소재 대형 기업에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라면 지역 간 격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 FDI를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실효성을 평가하는 잣대가 ‘신고’가 아닌 ‘도착’이어야 하는 이유다. 지방은 단지 유치 실적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외국 자본이 전략적으로 꺼리는 구조로 고착화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신고 실적만 앞세운 통계 발표는 실상을 가리기에 급급한 ‘성적 부풀리기’에 지나지 않는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대형 투자건 밀착관리보다 더 본질적인 처방, 즉 지방의 산업입지 경쟁력과 공급망 기반을 끌어올릴 수 있는 투자환경 전환에 나서야 한다.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돈은 계속 수도권에만 머무를 것이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