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까지 대전 엑스포시민광장 및 엑스포과학공원 일원서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 포스터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25~28일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 과학공원에서 열린다. 올해 과학축제는 '세상에서 가장 큰 연구실'을 주제로 △과학과 소통하는 '과학 톡톡' △과학실험실 △과학뮤지엄 △과학라운지 △과학테마파크의 5개 공간으로 꾸며진다. 축제 기간동안은 정재승·박범준 교수 등 스타과학자와 유튜버 '1분과학'의 강연, 과학뮤지컬 등 공연과 방탈출, 달의 중력 체험 등 420개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또한 양자컴퓨터, 초소형 유전자 가위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 개발성과와 CES 2024 출품작 등을 관람할 수 있다. 올해 개막식은 오는 25일 저녁 7시 엑스포시민광장에서 열린다.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가 진행을 맡고 소리꾼 김나영, 래퍼 광어, 가수 이석훈 등의 축하공연이 예정돼있다. 엑스포과학공원 소무대는 '도시 식물 탐험대' 저자 손연주, 'SF영화 속 우주과학 빼먹기' 저자 루카 등 다양한 작가들과의 북토크가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장 밖에서도 다양한 부대프로그램이 진행된다. 27~28일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생성형 AI콘텐츠 체험, 27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대덕특구 연구소 열린과학투어 등이 있다. 2024 과학축제 위치도 과학축제 관계자는 "행사 당일 교통이 혼잡하고 주차공간이 협소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키워드 #대한민국과학축제 윤소리 기자 tto250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 포스터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25~28일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 과학공원에서 열린다. 올해 과학축제는 '세상에서 가장 큰 연구실'을 주제로 △과학과 소통하는 '과학 톡톡' △과학실험실 △과학뮤지엄 △과학라운지 △과학테마파크의 5개 공간으로 꾸며진다. 축제 기간동안은 정재승·박범준 교수 등 스타과학자와 유튜버 '1분과학'의 강연, 과학뮤지컬 등 공연과 방탈출, 달의 중력 체험 등 420개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또한 양자컴퓨터, 초소형 유전자 가위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 개발성과와 CES 2024 출품작 등을 관람할 수 있다. 올해 개막식은 오는 25일 저녁 7시 엑스포시민광장에서 열린다.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가 진행을 맡고 소리꾼 김나영, 래퍼 광어, 가수 이석훈 등의 축하공연이 예정돼있다. 엑스포과학공원 소무대는 '도시 식물 탐험대' 저자 손연주, 'SF영화 속 우주과학 빼먹기' 저자 루카 등 다양한 작가들과의 북토크가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장 밖에서도 다양한 부대프로그램이 진행된다. 27~28일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생성형 AI콘텐츠 체험, 27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대덕특구 연구소 열린과학투어 등이 있다. 2024 과학축제 위치도 과학축제 관계자는 "행사 당일 교통이 혼잡하고 주차공간이 협소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