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충청권 상가 공실률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세종과 충북은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각각 25.2%, 20.4%로 전국 평균보다 7~12%p 높다. 소규모 상가 엿기 세종 14.4%, 충북11.2%로 공실률이 고착화되고 있다. 이는 일시적인 경기침체나 자영업 부진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신도시 설계부터 과잉 공급된 상업용지, 인구 정체와 소비 인구 분산, 온라인 소비 확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종은 도시 전역에 상가가 분산돼 있지만 실제 유동인구는 한정돼 있고 충북 일부 도시는 기존 중심 상권이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다고 봐야 한다. 비대면 소비 확산은 오프라인 점포 수요를 더 줄였고 고정비 부담이 큰 중대형 상가는 더이상 들어온다는 사람이 없다. 임대료를 낮추는 방식으로는 이 현상을 끊어낼 수 없다. 오히려 자산가치 하락이 투자 회피를 불러오고 이로 인한 공실 장기화 악순환에 바람을 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대응은 공급자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창업 공간 조성, 리모델링 지원 등은 공간 개선에만 의미가 있을 뿐, 실질적 수요 유입에는 한계가 있다. 수요가 없는 지역에서 물리적 공간을 되살리려는 방식은 근본적인 해답이 아니다. 공실 문제를 줄이기 위해선 상가 총량을 줄이고 수요 중심으로 공간을 재편해야 한다. 상업용지 용도 조정, 공실 상가의 복합 용도 전환, 소비 유입이 가능한 기능 중심 상권 조성이 병행돼야 한다. 충청권 상권의 위기는 단지 점포 한 곳의 문제가 아닌 도시의 구조와 기능 전환을 요구하는 신호다. 자영업자의 실패가 아닌 도시정책의 과오로부터 해법을 찾아야 한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충청권 상가 공실률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세종과 충북은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각각 25.2%, 20.4%로 전국 평균보다 7~12%p 높다. 소규모 상가 엿기 세종 14.4%, 충북11.2%로 공실률이 고착화되고 있다. 이는 일시적인 경기침체나 자영업 부진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신도시 설계부터 과잉 공급된 상업용지, 인구 정체와 소비 인구 분산, 온라인 소비 확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종은 도시 전역에 상가가 분산돼 있지만 실제 유동인구는 한정돼 있고 충북 일부 도시는 기존 중심 상권이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다고 봐야 한다. 비대면 소비 확산은 오프라인 점포 수요를 더 줄였고 고정비 부담이 큰 중대형 상가는 더이상 들어온다는 사람이 없다. 임대료를 낮추는 방식으로는 이 현상을 끊어낼 수 없다. 오히려 자산가치 하락이 투자 회피를 불러오고 이로 인한 공실 장기화 악순환에 바람을 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대응은 공급자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창업 공간 조성, 리모델링 지원 등은 공간 개선에만 의미가 있을 뿐, 실질적 수요 유입에는 한계가 있다. 수요가 없는 지역에서 물리적 공간을 되살리려는 방식은 근본적인 해답이 아니다. 공실 문제를 줄이기 위해선 상가 총량을 줄이고 수요 중심으로 공간을 재편해야 한다. 상업용지 용도 조정, 공실 상가의 복합 용도 전환, 소비 유입이 가능한 기능 중심 상권 조성이 병행돼야 한다. 충청권 상권의 위기는 단지 점포 한 곳의 문제가 아닌 도시의 구조와 기능 전환을 요구하는 신호다. 자영업자의 실패가 아닌 도시정책의 과오로부터 해법을 찾아야 한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