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파일럿 ai로 제작한 이미지
코파일럿 ai로 제작한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6월 20일 공공분야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을 위한 2025년도 지원사업 수행기업 공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공공서비스에 초거대 인공지능을 도입해 행정 효율화를 이루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혁신과 사회현안 해결을 목표로 한다.

올해는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전 과제 공모를 진행해 총 5개 과제를 선정했다. 선정된 과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민원분석 체계 △국세청의 국세 상담 지원 △산업통상자원부의 해외인증 AI 에이전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민원 상담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지방재정 지능화 등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민원 자동분류, 반려사유 분석, 답변 작성 등으로 민원처리 품질 향상과 행정 효율화를 꾀한다. 국세청은 홈택스에 AI 상담 챗봇을 도입해 납세자의 문의사항을 실시간으로 응대하고, 장시간 대기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소기업의 수출 애로 해소를 위해 해외인증 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개발한다. 해당 서비스는 모바일 기반으로 제공되며, 대민 서비스 효율성과 수출 경쟁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상담에 에이전틱 AI를 도입해 24시간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고, 기존 전화 상담의 한계를 보완할 예정이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지방재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수립의 적시성과 정보 접근성을 높여 지역 주민의 사회참여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6월 19일 국민권익위원회와 국세청 과제에 대한 조달 공고를 시작으로 5개 과제가 순차적으로 입찰 공고되며, 세부 내용은 조달청 나라장터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도록 사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도 인공지능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대국민 서비스 혁신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