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충남과 충북, 불과 지리적으로는 가까운 두 지역의 주택시장 흐름이 정반대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6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HBSI)에 따르면 충남은 기준선인 100을 회복한 반면, 충북은 87.5를 기록하며 충청권은 물론 전국에서도 유일하게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천안·아산 일대는 청약 경쟁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반면, 청주 외 지역은 미분양이 빠르게 해소되지 못하고, 준공 후 미분양은 오히려 늘고 있다. 충북의 부진은 단순한 주택 수요 부족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지역 내 정주 여건 격차와 인구 유출, 산업 기반 부족, 고분양가 논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반면 충남은 교통망 개선과 산업단지 조성을 바탕으로 주거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 연장, GTX-C 노선 계획 등이 현실화되면서 천안·아산 일대의 주거 선호도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청약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결국 회복의 관건은 산업과 교통, 그리고 그 기반 위에 구축된 삶의 환경이다. 정부는 지방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LH를 통한 미분양 매입과 스트레스 DSR 규제 완화 같은 대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는 수요 기반이 약한 지역에서는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오히려 규제 완화가 일시적 기대만 자극해 시장 신뢰를 더 훼손할 수도 있다. 주택시장은 가격만의 문제가 아니다. 직장이 있고, 아이를 키울 수 있으며, 병원과 대중교통이 가까운 곳에서만 수요는 생긴다. 수치로는 드러나지 않는 이 생활 기반이 충북의 하락과 충남의 상승을 가른 본질적인 이유다. 지방 주택시장의 회복은 단기 부양책이 아니라, 삶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충북 역시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위해 산업 인프라와 정주환경에 대한 장기적 투자가 필요하다. 살고 싶은 지역이어야 집도 팔린다. 그것이 지방 주택시장의 회복 공식이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충남과 충북, 불과 지리적으로는 가까운 두 지역의 주택시장 흐름이 정반대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6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HBSI)에 따르면 충남은 기준선인 100을 회복한 반면, 충북은 87.5를 기록하며 충청권은 물론 전국에서도 유일하게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천안·아산 일대는 청약 경쟁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반면, 청주 외 지역은 미분양이 빠르게 해소되지 못하고, 준공 후 미분양은 오히려 늘고 있다. 충북의 부진은 단순한 주택 수요 부족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지역 내 정주 여건 격차와 인구 유출, 산업 기반 부족, 고분양가 논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반면 충남은 교통망 개선과 산업단지 조성을 바탕으로 주거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 연장, GTX-C 노선 계획 등이 현실화되면서 천안·아산 일대의 주거 선호도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청약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결국 회복의 관건은 산업과 교통, 그리고 그 기반 위에 구축된 삶의 환경이다. 정부는 지방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LH를 통한 미분양 매입과 스트레스 DSR 규제 완화 같은 대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는 수요 기반이 약한 지역에서는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오히려 규제 완화가 일시적 기대만 자극해 시장 신뢰를 더 훼손할 수도 있다. 주택시장은 가격만의 문제가 아니다. 직장이 있고, 아이를 키울 수 있으며, 병원과 대중교통이 가까운 곳에서만 수요는 생긴다. 수치로는 드러나지 않는 이 생활 기반이 충북의 하락과 충남의 상승을 가른 본질적인 이유다. 지방 주택시장의 회복은 단기 부양책이 아니라, 삶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충북 역시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위해 산업 인프라와 정주환경에 대한 장기적 투자가 필요하다. 살고 싶은 지역이어야 집도 팔린다. 그것이 지방 주택시장의 회복 공식이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