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비상지역경제 상황실을 출범시켰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지방재정경제실장을 총괄 책임자로 하는 중앙 상황실을 설치하고, 지방재정팀·지방세제팀·지역경제팀 등 3개 실무팀을 구성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동시에 세종시를 비롯한 각 광역단체도 자체 상황실을 설치해 지역 맞춤형 민생경제 대책을 병행 추진키로 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 대응을 넘어 경제위기에 대한 실시간 관측 체계의 시작점으로 봐야 한다. 최근의 경기둔화 국면은 전통적인 거시지표만으로는 감지하기 어렵다. 대외불확실성, 고금리, 소비 위축 등 복합적 요인이 지역 단위에서 먼저 체감되지만, 중앙정부의 정책반영은 시간차를 두고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지역경제 위기는 일상 속 민생고로 번지고, 그 후에야 정책이 뒤따르는 악순환이 반복돼 왔다. 이번 상황실 체계는 이를 끊기 위한 하나의 실험이다. 자치단체가 예산집행, 지역물가, 지역화폐, 추경 사업 등을 상시 점검하고 중앙은 이를 바탕으로 탄력적인 정책 지원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세종시는 중앙과 연계된 상황판 운영과 함께 지역경제 실정을 반영한 대응체계를 병행 구축하고 있다. 지역 자체 민생대책 발굴과 추진까지 병행하겠다는 점에서 단순한 전달자 역할을 넘어 현장 중심의 정책 주체로서 기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앙-지방 분업'의 구태를 벗어나 '동시 대응'이라는 새로운 협력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만 이러한 체계가 효과를 거두려면 일회성 점검에 그쳐선 안 된다. 경제지표를 단순 나열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위기 징후가 포착되면 중앙정부가 즉시 대응할 수 있는 피드백 구조가 함께 작동해야 한다. 지역경제는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대응도 그만큼 기민해야 한다. 행정안전부와 자치단체는 경제 상황판이 책상 위 보고용 도표가 아닌 정책 전환의 신호등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비상지역경제 상황실을 출범시켰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지방재정경제실장을 총괄 책임자로 하는 중앙 상황실을 설치하고, 지방재정팀·지방세제팀·지역경제팀 등 3개 실무팀을 구성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동시에 세종시를 비롯한 각 광역단체도 자체 상황실을 설치해 지역 맞춤형 민생경제 대책을 병행 추진키로 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 대응을 넘어 경제위기에 대한 실시간 관측 체계의 시작점으로 봐야 한다. 최근의 경기둔화 국면은 전통적인 거시지표만으로는 감지하기 어렵다. 대외불확실성, 고금리, 소비 위축 등 복합적 요인이 지역 단위에서 먼저 체감되지만, 중앙정부의 정책반영은 시간차를 두고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지역경제 위기는 일상 속 민생고로 번지고, 그 후에야 정책이 뒤따르는 악순환이 반복돼 왔다. 이번 상황실 체계는 이를 끊기 위한 하나의 실험이다. 자치단체가 예산집행, 지역물가, 지역화폐, 추경 사업 등을 상시 점검하고 중앙은 이를 바탕으로 탄력적인 정책 지원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세종시는 중앙과 연계된 상황판 운영과 함께 지역경제 실정을 반영한 대응체계를 병행 구축하고 있다. 지역 자체 민생대책 발굴과 추진까지 병행하겠다는 점에서 단순한 전달자 역할을 넘어 현장 중심의 정책 주체로서 기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앙-지방 분업'의 구태를 벗어나 '동시 대응'이라는 새로운 협력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만 이러한 체계가 효과를 거두려면 일회성 점검에 그쳐선 안 된다. 경제지표를 단순 나열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위기 징후가 포착되면 중앙정부가 즉시 대응할 수 있는 피드백 구조가 함께 작동해야 한다. 지역경제는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대응도 그만큼 기민해야 한다. 행정안전부와 자치단체는 경제 상황판이 책상 위 보고용 도표가 아닌 정책 전환의 신호등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