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노인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청년들을 추월하는 추세다. 충청권에서는 이미 충북과 세종의 젊은이들이 따라잡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1분기 기준 충북의 6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은 53.5%로 청년층(15~29세) 참여율인 50.1%를 웃돌았다. 세종에서도 고령층 46.5%, 청년층 38%로 고령층이 더 높았다. 전국 17개 시·도 중 고령층이 청년층보다 경제활동에 더 활발히 참여한 지역은 충북과 세종을 포함해 10곳이나 된다. 

청년층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비교하면, 전국 평균은 각각 47.8%, 46.4%로 청년층이 소폭 높았다. 그러나 지역별로 보면 대구(고령층 41.5%, 청년층 41.1%), 강원(52.3%, 47.4%), 전북(48.4%, 45.5%), 전남(52.3%, 42.7%), 경북(53.4%, 49.8%), 경남(52.1%, 48.7%) 등에서 고령층이 청년층을 초과했다.

충남과 대전은 청년층이 각각 50.7%, 48.5%로 고령층(49.9%, 46.3%)보다 근소하게 앞섰으나, 차이는 1~2%포인트 내외로 미미했다.

충청권 4개 시도 모두 고령층의 노동시장 잔존 비중이 청년층과 대등하거나 오히려 높은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 및 광역시 중심으로 청년 고용률이 유지되는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서울은 청년층 52.9%, 고령층 40.4%로 격차가 12.5%포인트에 달한다.

이 같은 역전 현상은 고령화 가속과 함께 청년층의 지역 이탈, 고용 미스매칭, 그리고 고령층의 생계형 노동 지속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제조업과 농업, 자영업 비중이 높은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고령층이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일자리가 유지되는 반면, 청년층은 수도권 집중과 취업 포기 확산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아지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고령층의 경제활동 확대가 고용의 긍정적 신호로만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만큼,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지역별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지역 정착 유인을 높이고 고령층의 일자리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맞춤형 대책이 요구된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