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일보 DB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올해 사상 처음으로 '경제의 허리'로 불리는 40대 취업자 수를 추월할 전망이다. 이는 고령화의 진전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으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의 결과로 해석된다. 18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의 월평균 취업자 수를 기준으로 할 때,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약 624만 7000명으로, 이는 40대 취업자 수인 626만 2000명보다 약 1만 5000명이 적다. 그러나 이 연령대 취업자 수는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40대 취업자 수는 정체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12월 통계에서는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40대를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고 있다. 만약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올해 총 626만 6000명으로, 40대 취업자 수인 626만 1000명을 5000명 가량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는 196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실제로 올해 5월에는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641만 4000명으로 40대 취업자 수를 10만 명 이상 앞섰으며, 이러한 격차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10월에는 27만 명, 11월에는 22만 6000명 차이로 늘어났다. 2021년에는 이미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30대 취업자 수를 초과했으며, 이 연령대의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2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의 20.9%에서 상승한 수치이다. 60세 이상 취업자의 증가 추세는 창업 시장에서도 관찰된다. 60세 이상 창업자는 지난해 30대보다 55만 5000명이 많았으며, 올해에는 90만 명대로 예상되는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의 60세 이상 창업 기업 수는 10만 5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증가했다. 이는 전체 창업 기업의 증가율 0.6%와 비교했을 때 약 9배에 달한다. 반면, 40대와 50대 창업 기업 수는 감소했다. 이러한 고령층의 취업과 창업 증가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급속한 고령화 진행의 결과로 해석된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세종일보 DB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올해 사상 처음으로 '경제의 허리'로 불리는 40대 취업자 수를 추월할 전망이다. 이는 고령화의 진전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으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의 결과로 해석된다. 18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의 월평균 취업자 수를 기준으로 할 때,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약 624만 7000명으로, 이는 40대 취업자 수인 626만 2000명보다 약 1만 5000명이 적다. 그러나 이 연령대 취업자 수는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40대 취업자 수는 정체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12월 통계에서는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40대를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고 있다. 만약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올해 총 626만 6000명으로, 40대 취업자 수인 626만 1000명을 5000명 가량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는 196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실제로 올해 5월에는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641만 4000명으로 40대 취업자 수를 10만 명 이상 앞섰으며, 이러한 격차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10월에는 27만 명, 11월에는 22만 6000명 차이로 늘어났다. 2021년에는 이미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30대 취업자 수를 초과했으며, 이 연령대의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2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의 20.9%에서 상승한 수치이다. 60세 이상 취업자의 증가 추세는 창업 시장에서도 관찰된다. 60세 이상 창업자는 지난해 30대보다 55만 5000명이 많았으며, 올해에는 90만 명대로 예상되는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의 60세 이상 창업 기업 수는 10만 5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증가했다. 이는 전체 창업 기업의 증가율 0.6%와 비교했을 때 약 9배에 달한다. 반면, 40대와 50대 창업 기업 수는 감소했다. 이러한 고령층의 취업과 창업 증가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급속한 고령화 진행의 결과로 해석된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