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세계 우주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국제행사를 개최한다. 대전시는 글로벌 우주기업 컨텍스페이스그룹과 공동으로 6월 3일부터 5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5 국제우주컨퍼런스(ISS 2025)를 연다. 이번 행사는 40여 개국에서 3천여 명의 우주 전문가, 연구기관, 기업인, 투자자들이 참가해 우주산업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협력을 통한 우주산업의 역량 강화'를 주제로 열리는 ISS 2025는 우주항공의 날과 연계된 첫 국제행사로, 대전이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전략 거점임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컨퍼런스는 우주산업 발전 포럼, 기술 교류회, 수출상담회, 스타트업 피칭, 우주기술 전시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행사장 입구에는 대전의 과학기술과 관광자원, 먹거리 등을 소개하는 '대전관'이 설치되며, MZ세대를 겨냥한 '꿈씨패밀리' 굿즈 팝업스토어도 운영된다. 전시부스에는 핀란드 ICEYE, 독일 Exolaunch, 미국 VIASAT 등 해외 우주기업과 함께 KAIST, 국방과학연구소, 지역 스타트업 등 총 49개 기관이 참여한다. 스텝랩, 두시텍, 무인탐사연구소, 달로에어로스페이스 등 대전 기반 우주기업도 대거 참가해 기술 교류 및 해외 진출 가능성을 모색한다. 기조연설은 NASA와 미국 백악관에서 30년간 근무한 존 리 우주항공청 임무본부장이 맡는다. 아울러 우주탐사, 위성통신, 지구관측, 우주개발 등 15개 세션에서 국내외 전문가 70여 명이 발표와 토론을 통해 차세대 우주경제 시대의 공동 대응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우주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기술과 인재가 집약된 우주산업 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이성재 기자 이성재 기자 a1065@sejongilbo.co.kr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대전시가 세계 우주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국제행사를 개최한다. 대전시는 글로벌 우주기업 컨텍스페이스그룹과 공동으로 6월 3일부터 5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5 국제우주컨퍼런스(ISS 2025)를 연다. 이번 행사는 40여 개국에서 3천여 명의 우주 전문가, 연구기관, 기업인, 투자자들이 참가해 우주산업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협력을 통한 우주산업의 역량 강화'를 주제로 열리는 ISS 2025는 우주항공의 날과 연계된 첫 국제행사로, 대전이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전략 거점임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컨퍼런스는 우주산업 발전 포럼, 기술 교류회, 수출상담회, 스타트업 피칭, 우주기술 전시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행사장 입구에는 대전의 과학기술과 관광자원, 먹거리 등을 소개하는 '대전관'이 설치되며, MZ세대를 겨냥한 '꿈씨패밀리' 굿즈 팝업스토어도 운영된다. 전시부스에는 핀란드 ICEYE, 독일 Exolaunch, 미국 VIASAT 등 해외 우주기업과 함께 KAIST, 국방과학연구소, 지역 스타트업 등 총 49개 기관이 참여한다. 스텝랩, 두시텍, 무인탐사연구소, 달로에어로스페이스 등 대전 기반 우주기업도 대거 참가해 기술 교류 및 해외 진출 가능성을 모색한다. 기조연설은 NASA와 미국 백악관에서 30년간 근무한 존 리 우주항공청 임무본부장이 맡는다. 아울러 우주탐사, 위성통신, 지구관측, 우주개발 등 15개 세션에서 국내외 전문가 70여 명이 발표와 토론을 통해 차세대 우주경제 시대의 공동 대응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우주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기술과 인재가 집약된 우주산업 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이성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