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지난달 31일 국회 시정연설은 그간의 국회의 상황과는 상당히 다르게 흘러갔다. 지난 몇 년간의 국회는 정치적 대립과 충돌의 장소였다. 그러나 이번 시정연설은 여야 간의 신사협정 이후 변화된 분위기를 선보였다.

윤 대통령의 연설은 대내외적 어려움, 특히 경제와 안보 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됐다. 그는 건전재정 기조를 강조하며, 국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여당 의원들은 32차례 박수를 보내며 환영했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역시 대체로 자리를 지켜 각별한 반발 없이 시정연설을 들었다. 이는 지난 몇 년간의 국회 상황과는 대조적이다.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의 움직임이다. 두 사람은 공식적으로 처음으로 만나 대화를 나눴다. 둘의 만남은 단순한 회담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한국 정치에 있어서 양당 간의 소통과 협치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그러나, 이런 변화의 배경에는 국내외 경제와 정치의 현안이 큰 영향을 미쳤다. 국내외 여러 경제 위기 상황, 선진국 가운데서 가장 큰 가계부채 문제, 더불어 글로벌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하마스 간의 전쟁 등 여러 복합적인 위기가 겹쳐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단순한 정치적 대립보다는 여야 간의 협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경제적 위기 상황 속에서도 예산안을 둘러싼 여야의 입장차이는 여전하다. 윤 대통령은 건전재정과 지출 구조조정을 중심으로 내년 예산안을 구성했으나, 민주당은 R&D 예산과 지역화폐 예산 증액을 주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예산안을 둘러싼 여야의 마찰은 여전히 존재하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야가 치열하게 부딪히는 예산국회가 앞으로 시작될 상황에서, 최근의 시정연설과 여야 간의 소통은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상호 존중과 협력의 문화가 더욱 자리 잡는다면, 앞으로도 국회는 서로 소통하며 협치를 이루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국회와 정치는 지금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양당 간의 소통과 협치를 통해 국민의 복지와 국가의 발전을 위한 길을 찾아야 한다. 국민들은 이러한 변화를 지켜보며, 민주주의와 협치의 진정한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