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소비와 건강 두 축에서 구조적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민간소비는 수년째 경제성장률을 밑돌고 있고, 건강보험 지출은 진료 단가 상승과 생애 말기 의료 집중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 모든 현상의 책임을 고령화에 돌리기보다는 제도의 경직성과 대응 부족을 먼저 살펴야 한다. 소비 측면에서 기대수명 증가는 중장년층의 저축 확대를 유발하지만, 초고령층 비중 확대는 소비성향을 되살리는 요인이다. 60대 이상은 자산이 가장 많은 연령층이고, 디지털 적응률도 높아지고 있다. 면세소비나 손자녀 관련 지출 확대는 이미 고령층이 새로운 소비 주체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건강보험 지출은 구조적 병목에 기인한다. 특히 8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 전 의료비는 10년 사이 3.4배 증가했다. 이는 기대수명 증가 외에도 수가 체계, 병원 중심 치료, 지역 인프라 부재 등의 복합적 결과다. 65~74세 전기 고령층은 의료 이용이 줄어드는 추세지만, 이들이 초고령층이 되면 다시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이제 고령화를 위기가 아닌 구조 개편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노동시장 유연화, 고령층 자산 유동화, 문화 소비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고, 건강보험은 주치의제 도입과 말기 진료 분산 등 구조 재설계가 시급하다. 고령 인구는 더 이상 부담이 아니라 새로운 활력의 원천이다. 지금이 구조를 바꿀 때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소비와 건강 두 축에서 구조적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민간소비는 수년째 경제성장률을 밑돌고 있고, 건강보험 지출은 진료 단가 상승과 생애 말기 의료 집중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 모든 현상의 책임을 고령화에 돌리기보다는 제도의 경직성과 대응 부족을 먼저 살펴야 한다. 소비 측면에서 기대수명 증가는 중장년층의 저축 확대를 유발하지만, 초고령층 비중 확대는 소비성향을 되살리는 요인이다. 60대 이상은 자산이 가장 많은 연령층이고, 디지털 적응률도 높아지고 있다. 면세소비나 손자녀 관련 지출 확대는 이미 고령층이 새로운 소비 주체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건강보험 지출은 구조적 병목에 기인한다. 특히 8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 전 의료비는 10년 사이 3.4배 증가했다. 이는 기대수명 증가 외에도 수가 체계, 병원 중심 치료, 지역 인프라 부재 등의 복합적 결과다. 65~74세 전기 고령층은 의료 이용이 줄어드는 추세지만, 이들이 초고령층이 되면 다시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이제 고령화를 위기가 아닌 구조 개편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노동시장 유연화, 고령층 자산 유동화, 문화 소비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고, 건강보험은 주치의제 도입과 말기 진료 분산 등 구조 재설계가 시급하다. 고령 인구는 더 이상 부담이 아니라 새로운 활력의 원천이다. 지금이 구조를 바꿀 때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