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미상 인원 4명이 24일 오전 강원도 속초 지역을 통해 귀순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강원도 속초 동쪽 약 11㎞ 해상에서 일어난 사건은 국가의 안보에 대한 주목을 다시금 끌어모았다. 소형 목선을 타고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통과한 북한 주민 4명은 우리나라 어선에 의해 발견됐고, 남성 1명, 여성 3명으로 구성된 일가족인 것으로 알려진 이들은 귀순의 의사를 밝혔다. 동해상 귀순은 2019년 11월 동해 삼척항에서 북한 어민 2명이 목선을 타고 귀순 했다가 당시 문재인 정부의 강제 조치로 북송된 이후 4년 만이다.

정부는 즉시 이들의 신병을 확보했으며, 군과 해경, 국가정보원과 같은 관계 기관들은 이들의 안전을 위해 빠르게 대응했다. 합동 신문을 진행하기 위해 이들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이동 경로와 귀순 의사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예정돼 있다.

이 사건은 안보 문제에 대한 관심을 재점화시켰다. 만약 북한 목선이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고 남쪽으로 내려와 어선의 신고로만 발견된 것이라면, 우리나라의 해상 및 해안감시 태세에 큰 문제가 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에 대한 반응으로 "우리 군은 이른 새벽부터 동해 NLL 인근 해상에서 특이 징후에 대비하여 작전적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며 다양한 감시 장비를 통해 북한 소형목선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사건은 우리나라의 안보 체계에 대한 논란을 다시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19년 11월에도 북한 주민들이 동해상에서 배를 타고 귀순을 시도한 바 있으며, 당시 이들은 판문점을 통해 강제로 북송됐다. 지난 5월에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서해를 통해 북한 어선 1척이 NLL을 넘어 귀순한 바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우리나라의 안보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동해와 서해를 통한 귀순 사건이 재발하는 상황에서, 정부와 관계 기관들은 이를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사건을 방지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