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개월 동안의 한국 경제 흐름은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제조업, 특히 반도체 산업의 생산 및 수출 증가와 함께 서비스업과 고용 분야에서의 개선을 기록했다. 그러나 중동 정세의 불안이 더해진 국제 유가의 변동성은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6개월 동안 경기 둔화로 평가받던 한국 경제는 8월부터 서서히 회복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지수는 지난 8월에 5.6% 상승하며 특히 반도체 산업이 13.4%의 큰 반등을 기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지난 3분기 수출은 1년 전보다 9.8% 감소하는 등의 현상이 관찰됐지만, 이는 지난해 4분기의 감소율(-10.0%)보다는 낮은 수치로 평가됐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9월 수출 성적은 양호했지만, 수출이 전체 생산을 반영하지는 않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서비스업 분야 역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8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3% 증가하였고, 9월 취업자 수도 1년 전보다 30만9000명 증가하는 등의 개선 모습을 보였다. 또 9월 카드 승인액은 1년 전보다 5.7% 증가하며 전월 대비 증가세를 확대했다.

특히 9월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의 폭발적인 증가는 관광 산업의 회복세를 암시하고 있다.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810.9%나 증가한 중국 관광객 수로 인해 관광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것이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국제 유가의 변동성, 특히 중동 지역의 정세 불안이 추가되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과장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충돌은 원유 운송경로에 큰 영향을 주지 않겠지만, 사태의 확산 가능성과 불확실성 때문에 정부는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