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소상공인과 예비 창업자를 위한 '소상공인 상권분석 서비스'를 3월 31일부터 정식 운영한다. 이 서비스는 데이터 기반 상권분석을 통해 자영업자의 과당경쟁을 방지하고, 경쟁력 있는 소상공인을 육성하기 위한 민선 8기 공약사업의 일환이다.

시스템 구축은 지난해 5월 완료됐으며, 6월부터 12월까지 시범 운영과 기능 고도화를 거쳤다. 올해부터는 정식 운영을 통해 창업 준비와 경영 안정화 지원이 본격화된다.

서비스는 회원가입 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예비 창업자에게는 업종 및 입지 선정 등 창업 초기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존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증대, 업종 전환, 점포 개선 등 경영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서비스는 △소상공인 분석 서비스 △소상공인 지원 전문가 △소상공인 지원사업 △소상공인 데이터 셋 등 네 가지 핵심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소상공인 분석 서비스'에서는 행정동 또는 상권별 △업종 분석(분포 현황, 폐업률 등) △매출 분석(월별 추이, 요일별 현황 등) △인구 분석(유동 인구 현황, 성별·연령대 비율, 주거 인구 현황 등) 자료를 시각화한 분석보고서를 제공하며, 여러 지역을 비교하는 기능도 지원한다. 분석에는 공공·민간기관에서 수집한 29종의 최신 데이터가 활용되며, 월·분기·연 단위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소상공인 지원 전문가'는 경영, 마케팅, 기술, 디지털 전환, 법률 등 5개 분야에서 71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AI와 SNS 등 디지털 분야 컨설팅을 확대하고, 기존 2회였던 컨설팅 횟수를 3회 이상으로 늘려 후속 점검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시범 운영 기간 동안 82명에게 140건의 컨설팅이 제공됐으며, 만족도 조사에서 84% 이상이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소상공인 지원사업'은 공모 중인 지원사업을 원스톱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소상공인 데이터 셋'을 통해 누구나 데이터를 다운로드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서비스는 창업 지원을 넘어 대전시 및 유관기관의 정책 수립에도 활용된다. 축적된 데이터는 소상공인 정책 방향 설정과 지원사업 기획을 위한 분석자료로 제공되며, 데이터 행정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G-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해 보안성과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해 데이터 최신성, 품질 관리, 시스템 유지보수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앞으로도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성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