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제작한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제작한 이미지.

오늘은 정부가 지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다.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해서 '복귀'로 인정할 수 없다는 교육부의 입장은 이 문제가 단순한 행정적 해결책으로는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모든 측면에서 볼 때, 우리는 지금 의료계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

의대생들은 국가와 사회로부터 특별한 지위와 혜택을 누려왔다. 국가 지원을 받는 교육 시스템 안에서 의술을 배우고, 졸업 후에는 사회에서 존경받는 전문가로 자리매김한다. 이러한 특권에는 반드시 책임이 따른다. 의사가 된다는 것은 단순한 직업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소명에 응답하는 일이다. 현재의 집단행동은 이러한 소명 의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장기화되는 갈등은 이미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당장의 의료 공백은 물론이고, 미래의 의료 인력 양성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다. 현재 의대생들이 제때 졸업하지 못한다면, 몇 년 후 신규 의사 공급에 심각한 공백이 생길 것이다. 이는 결국 환자의 부담으로 돌아간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이번 사태가 의사-환자 간 신뢰 관계에 미칠 장기적 영향이다. 의료는 본질적으로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환자가 의사를 신뢰하지 않는 사회에서 의료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의대생들이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과정에서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라는 가치가 뒷전으로 밀려나는 인상을 줄 경우, 그 신뢰 회복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물론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해결 방식은 대화와 타협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등록 후 수업 거부'와 같은 방식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결국 제적이라는 더 큰 불이익으로 돌아올 수 있음을 학생들은 명심해야 한다.

의료는 국가의 근간이며, 국민 모두의 생존과 직결된다. 의대생들은 지금이라도 자신들이 선택한 길의 의미를 깊이 성찰하고, 사회적 소명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동시에 정부 역시 명확한 기준과 일관된 정책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이 갈등이 하루빨리 해소되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환자들이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해 고통받고 있기 때문이다. 의대생들의 현명한 판단과 책임감 있는 행동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