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소통분과가 25일 대전시청 세미나실에서 첫 회의를 열고 행정통합 홍보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이창기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소통분과 위원, 대전·충남 홍보부서 및 관계부서 직원 등이 참석했다. 민관협의체는 시·도민 홍보, 의견 청취 및 공론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소통분과를 구성했으며, 대전에서는 박충화 대전대학교 대외협력·경영부총장, 정명국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권오철 중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가, 충남에서는 박범인 금산군수, 김석곤 충남도의회 의원, 양경모 충남도의회 의원, 김원필 (사)한국청년네트워크 회장이 참여했다.

위원들은 시·도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대전·충남 각각 공동위원장을 선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으며, 회의를 거쳐 대전은 박충화 위원을, 충남은 양경모 위원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하혜수 전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공동대표(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가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 과정의 시사점과 홍보 방안"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하 교수는 2021년 1차 여론조사 당시 반대 여론이 높았던 대구·경북 지역에서 공론화 이후 찬성률이 각각 68.5%, 62.8%로 상승한 사례를 소개하며, 시·도민과의 밀접한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행정통합에 대한 명확한 도식화를 통해 시·도민의 우려를 해소하고 통합의 당위성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연 이후 위원들은 대전·충남 시·도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안을 두고 토론을 진행했다. 박충화 공동위원장은 "통합의 긍정적 효과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제시해야 시·도민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으며, 양경모 공동위원장은 "행정통합 이후 시·도민의 삶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공론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통분과 위원들은 다음 달 행정통합 특별법(안) 마련 이후 다각적인 홍보전략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우선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회 차원의 토론회·공청회를 개최해 행정통합의 당위성에 대한 공감을 확산시킬 방침이다.

이창기 공동대표는 "지역구 국회의원, 여야 정책위원회 등과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으로, 시·도와 협력해 국회와의 관계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소통분과는 시·도민과의 직접 소통을 위해 자치구·권역별 설명회를 개최하고, 기업인·과학인 등 유관기관·단체와 간담회를 열어 지역 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도민이 행정통합의 필요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상·광고물을 제작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성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