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건설청이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양 기관은 지난 17일 세종시청에서 '행복-세종 정책협의회'를 열고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행복-세종 정책협의회'는 김하균 세종시 행정부시장, 이승원 경제부시장, 강주엽 행복청 차장이 공동 주재하는 부기관장급 협의체로, 행복도시 건설 관련 현안을 논의하고 기관 간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매월 정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회의에는 주요 실·국장도 참석해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협력 방안을 구체화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세종 국가상징구역' 조성, 세종지방법원 설치, 지역경제 활성화, 시설물 이관, 첫마을 IC 신설 등 주요 현안이 논의됐다. 세종시는 행복청이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세종 국가상징구역의 도시계획과 대통령 제2집무실 건축계획을 통합한 국제설계공모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행복청은 현재 공모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공모 지침서를 작성 중이며, 공모 공고 전 국민 의견수렴 절차를 거칠 계획이다. 세종시는 국제설계공모 추진 과정에서 대통령 집무실을 포함한 국가핵심시설의 완전 이전을 대비해 이를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행복청은 국민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장래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 설계공모에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세종지방법원 설치와 관련해서는 지난해 10월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2031년 개원을 위해 정부 예산 반영이 적기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재정당국과 국회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설득을 추진할 방침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구성된 투자유치 원팀을 적극 활용해 기업·복합몰·문화시설 유치를 확대하고, 도시의 자족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해 11월 발표된 '행복도시 상가활성화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양 기관은 정책 효과가 가시화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각 기관별 세부 이행 계획을 철저히 관리하기로 했다.

행복청이 올해 준공 예정인 집현동(4-2생활권) 행복누림터(복합커뮤니티센터)를 비롯해 행복도시 내 건립되는 복합커뮤니티센터, 공원, 도로 등 시설물의 적기 이관·관리를 위해 세종시가 협력하기로 했다. 다만 세종시는 시설물 이관 전 합동점검을 통해 도출된 보완 사항을 철저히 반영할 것을 행복청에 요청했다.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 차원에서 첫마을 IC 신설도 논의됐다. 세종시는 해당 인프라가 정부 차원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으며, 행복청은 이를 올해 추진 예정인 제4차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과정에서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하균 행정부시장은 행복청이 세종시 발전의 필수적인 축이자 동반자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주엽 행복청 차장은 이번 협의회가 확대된 형태로 진행된 만큼 양 기관이 올해 업무계획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면서, 향후 반기에 한 번 이상 확대 정책협의회를 개최해 심도 있는 논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