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은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을 정식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기존 2004년부터 운영된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국가유산 행정업무를 디지털로 통합·운영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현재 국가유산청과 17개 광역시도, 260개 시군구 및 관련 기관 직원 약 41,700명이 이용 중이다. 국가유산청은 2023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기존 시스템을 분석·설계한 후 차세대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해 11월 시범개통을 완료하고 안정화된 후 이번에 본격적으로 공개됐다.

이번 시스템은 사용자 경험(UX)을 기반으로 한 ‘나의업무’와 ‘알림서비스’를 신설해 사용자가 자신의 국가유산 행정업무 현황을 쉽게 확인하고, 업무별 신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정부 클라우드 기반으로 보안과 성능을 강화했으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전문 인력을 통한 신속한 운영 관리가 가능하다.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9월 국가유산수리 행정업무 통합 관리를 위해 개시한 「국가유산수리시스템(e수리)」을 포함한 다양한 대내외 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더욱 강화했다.

내달 중에는 국가유산의 지정·해제, 현상변경, 국고보조 등의 관련 사항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통합검색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시범개통 기간 중에는 시스템의 화면 배치 개선과 성능 향상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으며, 업무 효율성 또한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지자체의 국고보조사업 신청과 관리, 협업기관의 사업신청 및 허가과정 등 민원업무 처리 절차가 표준화되어 사용자들의 행정업무가 더욱 유연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유산청은 지속 가능한 국가유산 보존·관리·활용을 위해 디지털 기반의 행정 시스템 고도화와 데이터 통합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