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들은 우리 경제가 심각한 위기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12.3 비상계엄 이후 촉발된 정치적 불안정성이 실물경제 전반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는 사실이다. 소비자심리지수가 88.4로 급락하며 팬데믹 초기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은 단순한 경기 둔화가 아닌, 정치 불안이 국민 경제 심리를 얼어붙게 만든 결과다.

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을 보면 우리 경제가 복합 위기에 직면해 있음이 확연히 드러난다. 1년여 만에 '경기 회복' 문구가 삭제된 것은 물론, 그간 긍정적으로 평가해 온 고용 상황마저 '둔화'로 진단이 바뀌었다. 특히 청년 실업률이 5.9%로 치솟고 24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은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대외 여건도 녹록지 않다. 미국 대선을 앞둔 보호무역주의 강화 우려,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와 디플레이션 리스크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하면서 수입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는 곧 서민들의 생활고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탄핵 정국의 장기화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이탈하고 있으며, 소비 심리 위축이 내수 부진과 고용 악화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현재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는 그 실효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이제 정치권은 국민경제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정쟁에만 매몰되어 경제가 추락하도록 방치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여야는 하루빨리 정치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경제 회생을 위한 초당적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보다 과감하고 실효성 있는 경제 안정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치 불안이 경제 위기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한다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서민들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