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2024년 대한민국 고속철도는 이용객 수와 노선 확장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기록했다. 연간 이용객 수는 전년 대비 5.4% 증가한 1억 1,658만 명을 기록했으며, 전국 철도 네트워크는 질적·양적 성장을 달성했다. 철도 전체 이용객은 4.9% 증가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며, 경부선은 주요 간선 노선으로서의 역할을 유지했다. 철도망 확충의 핵심은 새롭게 도입된 366.8km 길이의 준고속 노선 4개와 시속 320km/h 운행이 가능한 KTX-청룡이다. 이들의 도입으로 수도권과 주요 지역 간 연결성이 개선되어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 확대되었다. 서울-부산 간 이동 시간은 2시간 10분대로 단축되었으며, 동해안과 충청 내륙, 경북 등 신규 교통망의 수혜 지역도 증가했다. 철도 운임 할인 제도에도 변화가 있었다. 다자녀 가구와 임산부 대상 할인 확대 정책이 시행되어, 3자녀 이상 가구에는 최대 50% 할인이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다자녀 가구의 철도 이용객 수는 78.2% 증가했다. 할인액은 2023년 19.7억 원에서 2024년 40.1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정부의 저출산 대책과 철도 이용 활성화 정책이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고속철도 확장은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역은 42.3백만 명의 이용객을 기록하며 중심 역사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다. 부산역은 관광과 문화를 연결하는 거점으로, 동대구역은 복합환승센터를 중심으로 한 교통 허브로 발전했다. 철도공사는 2025년까지 9개 노선, 77개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동해선, 중앙선 등 지방 중심의 노선 확장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KTX-이음과 같은 친환경 열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철도망의 확충으로 지역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면서 경제적·사회적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 2024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철도공사는 전국 철도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윤소리 기자 윤소리 기자 s.o.l.ily2504@gmail.com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2024년 대한민국 고속철도는 이용객 수와 노선 확장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기록했다. 연간 이용객 수는 전년 대비 5.4% 증가한 1억 1,658만 명을 기록했으며, 전국 철도 네트워크는 질적·양적 성장을 달성했다. 철도 전체 이용객은 4.9% 증가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며, 경부선은 주요 간선 노선으로서의 역할을 유지했다. 철도망 확충의 핵심은 새롭게 도입된 366.8km 길이의 준고속 노선 4개와 시속 320km/h 운행이 가능한 KTX-청룡이다. 이들의 도입으로 수도권과 주요 지역 간 연결성이 개선되어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 확대되었다. 서울-부산 간 이동 시간은 2시간 10분대로 단축되었으며, 동해안과 충청 내륙, 경북 등 신규 교통망의 수혜 지역도 증가했다. 철도 운임 할인 제도에도 변화가 있었다. 다자녀 가구와 임산부 대상 할인 확대 정책이 시행되어, 3자녀 이상 가구에는 최대 50% 할인이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다자녀 가구의 철도 이용객 수는 78.2% 증가했다. 할인액은 2023년 19.7억 원에서 2024년 40.1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정부의 저출산 대책과 철도 이용 활성화 정책이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고속철도 확장은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역은 42.3백만 명의 이용객을 기록하며 중심 역사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다. 부산역은 관광과 문화를 연결하는 거점으로, 동대구역은 복합환승센터를 중심으로 한 교통 허브로 발전했다. 철도공사는 2025년까지 9개 노선, 77개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동해선, 중앙선 등 지방 중심의 노선 확장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KTX-이음과 같은 친환경 열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철도망의 확충으로 지역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면서 경제적·사회적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 2024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철도공사는 전국 철도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윤소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