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이번 주말 최저기온 -18도의 강력한 한파가 예고되면서 우리 사회는 재난 수준의 추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극한의 추위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차원의 철저한 대비와 개인의 현명한 건강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우선, 정부와 지자체의 재난 대비 시스템에 대한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 도로 결빙과 제설작업에 대한 대응 실태를 철저히 점검하여 교통사고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수도관 동파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설관리 시스템을 보완하는 것이 시급하다. 한파 특보와 재난 문자 발송의 적시성과 실효성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야 한다. 시민들에게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여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파 속에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도 필수적이다. 외출 시에는 장갑, 목도리, 방한모자 등의 보온용품을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여러 겹의 얇은 옷을 겹쳐 입는 것도 체온 유지에 효과적이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생명과 직결된 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실내에서도 적절한 온도와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실내 온도는 18~20도로 유지하고, 적절한 습도를 관리해야 한다. 또한,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체온 유지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작은 습관들이 모여 건강을 지키는 큰 방패가 될 수 있다.

동상 예방을 위해 손발의 보온에 특히 신경 써야 한다. 급격한 온도 변화를 피하고, 장시간의 실외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예방 수칙을 준수함으로써 한파로 인한 건강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파는 분명 자연재난이지만, 철저한 대비를 통해 그 피해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정부의 체계적인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번 한파를 우리 사회의 재난 대비 시스템을 개선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